[선거의 경제학] 시중에 풀리는 수천억, 중기·지역 상권으로

입력 2016-04-04 11:32수정 2016-04-06 08:3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선관위 예산 2천억·선거비용 등 상권 활성화에 반짝 영향

4·13총선을 계기로 시중에 풀리는 돈은 수천억원에 달한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선거 관련 예산과 후보들의 선거비용이다. 전문가들은 이를 통해 소규모 업체와 지역 상권에 ‘반짝’이나마 긍정적 효과를 불러온다고 분석하고 있다.

올해 총선을 위해 별도로 선관위에 배정된 예산은 1921억원이다. 사전투표 도입에 따른 예산 313억원이 포함됐다. 이 돈은 선거 방송과 각급 선관위 위원·간사 등에 대한 수당, 선거공보 발송, 사전투표 관리, 개표 관리 등에 쓴다.

이와 별도로 재외선거 관리를 위한 예산 87억원과 선거보전비용으로 지급할 930억원 정도가 잡혀 있다. 총선에 출마한 후보자는 유효 득표 수의 10%를 득표하면 선거비용의 50%를, 15% 이상을 얻으면 100%를 선관위로부터 돌려받는다.

총선에 나선 후보자가 쓰는 비용도 만만치 않다. 정확한 계산은 어렵지만, 득표 미달로 선거비용을 돌려받지 못하는 후보가 많다는 점에서 추가적 소비도 적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1인당 평균 선거제한액은 1억7800만원이다.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정의당 등 각 정당에서도 소비가 이뤄진다. 기본적인 정당 운영비 외에 총선을 앞두고 선관위가 이들 정당에 지급한 돈만 400억원에 이른다.

앞서 언급한 비용들을 더해 보면 명확하게 떨어지는 비용만 해도 3000억원이 훌쩍 넘는다. 이를 통해 언론과 출판, 인쇄, 홍보업체, 여론조사업체, 광고대행사, 유세차 등 선거 관련 업종에 조금이나마 활력을 제공하게 된다.

한 홍보대행사 관계자는 이투데이와 통화에서 “정치 쪽을 전문으로 하는 홍보회사나 여론조사 업체들은 선거 때 한 철 벌어 회사를 유지하는 셈”이라고 말했다.

그뿐만 아니라 후보자 유세가 활발한 지역의 상권 역시 선거의 간접효과를 보는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 서대문의 한 쇼핑센터 상인은 “이곳이 번화가이다 보니 유세차를 이용한 후보들의 선거운동이 활발하다”면서 “선거운동을 시작한 후 손님이 조금 늘었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