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북한 GPS 전파교란 대응체계는

입력 2016-04-02 17:3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지난달 31일부터 시작된 북한의 GPS(인공위성 위치 정보) 교란이 사흘째 이어지면서 정부의 대응체계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일 정부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차례의 GPS 전파교란 발생 이후 범정부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대응매뉴얼 마련 등을 통해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정부는 항공기, 선박 등에 대해서는 국토부, 해수부, 해경 등과 협업을 통해 교란발생시 대체항법장치를 활용해 항행하도록하는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동통신기지국은 안테나 차폐시설과 교란신호 발생시 자체 클락으로 자동 전환되는 시스템을 구축해 교란을 회피하고 있다.

무엇보다 정부는 GPS 교란 발생과 교란원 위치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전파감시시스템을 서해안과 동해안 접경지역에 구축해 24시간 모니터링를 하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감시시스템을 통해 GPS 교란전파가 탐지된 경우 위험정도에 따라 비상연락체계를 통해 유관기관에 즉시 전파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유관기관은 국방부, 국토부, 해수부 등 정부기관과 이통사, 방송사, 항공사 등 39개 기관이다. 유관기관은 대응매뉴얼에 따라 해당 분야별 대응조치를 실시하고 결과를 미래부에 보고해야 한다.

GPS 위기대응은 교란신호의 세기와 피해범위 등에 따라 관심, 주의, 경계, 심각 4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정부는 이달 1일 수도권과 강원 지역에 대해 GPS 전파 교란을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격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