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 크라우드펀딩⑥] 숫자로 본 성공사례...‘연평해전’ 엔딩크레딧 7000명

입력 2016-04-01 10:4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영화 ‘귀향’은 크라우드펀딩이 성공한 대표적 사례다.

조정래 감독이 연출한 ‘귀향’은 초반 제작 과정에서 투자사들에 퇴짜를 맞으며 난항을 겪었다. 그러나 크라우드펀딩으로 제작비 조달에 성공하며 성공적으로 개봉을 이끌어냈다. ‘귀향’은 7만5270명이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총 제작비 25억원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11억6122만원을 마련했다.

지난해 개봉한 ‘연평해전’ 역시 크라우드펀딩으로 활로를 찾았다. 2002년 6월 발생한 제2연평해전을 소재로 한 ‘연평해전’은 제작비 등의 문제로 7년 동안 영화를 완성하지 못했다. 그러나 순제작비 60억원 중 20억원을 크라우드펀딩 등으로 모금하며 극장가를 휩쓸었다. 엔딩 크레딧에 이름을 올린 사람만 7000여명. 2013년 개최된 바자회를 비롯해 총 3차례 진행된 크라우드펀딩에 참가한 사람들이다. ‘연평해전’은 서울에서만 126만명을 동원하며 누적 관객 수 600만명을 기록하는 성과를 거뒀다.

‘또 하나의 가족’도 크라우드펀딩으로 2071명으로부터 약 1억2000만원의 후원금을 받았다. 당시 크라우드펀딩 목표액의 119%를 달성했다. 이어 제작두레, 시민단체 등의 후원으로 순제작비 10억원 중 절반에 해당하는 5억원을 마련했다. 또한 500여명의 시민이 보조 출연으로 영화 제작을 돕기도 했다. ‘또 하나의 가족’은 2014년 개봉해 누적 관객 수 49만8000명, 누적매출액 35억3649만원을 기록했다.

‘지슬-끝나지 않은 세월2’는 총 제작비 2억5000만원 가운데 크라우드펀딩을 이용해 1400만원을 모았다. 제주도 문화계 인사와 주민들이 7000만원을 후원해 완성됐다. 영화 ‘26년’도 제작비 중 6억원 가량을 크라우드펀딩으로 조달했다. 이외에도 영화 ‘족구왕’이 82명의 후원자에게 634만원을 모았고, 영화 ‘카트’는 개봉두레로 2539명의 후원을 받아 1억1916만원, 응원장터 프로젝트로 8713만원을 모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