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주요 은행 주식손실 7000억… 포스코가 절반 차지

입력 2016-03-31 18:23수정 2016-04-01 10:1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지난해 주요 시중은행들이 지분을 투자하고 있는 일반기업의 가치하락이 7000억원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포스코의 기업 가치하락에 따른 은행의 손실은 3000억원으로 절반 수준이었다.

3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따르면 신한·국민·우리은행 등 3곳의 지분투자 기업의 감액 손실 금액은 5957억원이다. 여기에 하나은행의 보고서를 별도 분석한 결과 1258억원으로 이를 합하면 총 7215억원이다.

감액손실은 시장가치 하락 등으로 회수 가능 금액이 장부가액에 미달할 때 장부가와 회수가능한 액수의 차이를 의미한다.

이 중 포스코의 감액 규모가 3173억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세부적으로 국민은행이 1721억원, 신한은행이 985억원, 우리은행이 466억원이었다.

지난해 경영위기를 겪었던 대한전선의 감액손실 부분도 454억원이나 됐다.

은행별 총액은 국민은행이 2447억원었으며, 신한은행 2156억원, 우리은행 1353억원, KEB하나은행 1258억원 순이었다.

최근 은행권은 순이자마진(NIM) 하락과 기업 신용위험 평가 강화 등으로 인한 충당금 상승 등 수익성을 위협하는 요소가 많다.

때문에 기업에 투자금의 가치하락도 큰 골칫거리로 작용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들은 은행들의 투자 기업 감액손실에 대해 당장 손실로 이어지지는 않지만, 잠재적 위험요소라는 점에선 시각을 같이 하고 있다.

특히 강화된 자본기준인 바젤III에서는 자산의 위험가중도에 따라 추가 자본적립을 요구하고 있다.

예를 들어 현금 자산은 위험도가 없다고 판단하지만, 주식 자산은 위험노출액(익스포저)을 감안한 위험 가중도가 100~150% 정도이다.

현금은 자본비율에 100% 반영되며, 주식 자본의 자산가치는 이보다는 적게 반영되는 식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은행들이 소유한 기업 가치 하락에 따라 은행 수익과 자산 건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위험관리 차원에서 자체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