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미국 대선] 트럼프 한·일 핵무장 허용론에…한·미·일 정부‘선 긋기’

입력 2016-03-29 10:5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도널드 트럼프가 19일(현지시간) 미국 애리조나주 파운틴힐스에서 유세를 하고 있다. 파운틴힐스/AP뉴시스

미국 공화당 유력 대선주자인 부동산 재벌 도널드 트럼프가 한국과 일본의 핵무장을 용인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히자 한국과 일본과 미국 정부가 단호하게 선을 그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28일(현지시간) “핵을 보유하지도, 만들지도, 반입하지도 않는다는 비핵화 3원칙은 일본의 기본 정책”이라면서 “앞으로 이를 견지해 나간다는 것은 전혀 변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스가 장관은 “트럼프가 일본이 방위비 분담금을 대폭 올리지 않으면 주일미군이 철수할 것”이라고 주장한 것에 대해 “후보자 한 명의 발언에 대한 논평은 자제하겠다”고 일축했다.

미국 정부 역시 트럼프 발언에 선을 그었다. 존 커비 미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트럼프의 핵무장 허용론에 대해 “우리는 모든 대선 경선 후보가 내놓는 발언에 대응하지 않겠다”면서 “그러나 (상호방위) 조약에 따라 한국과 일본을 방어한다는 진정성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변한 것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비핵화의 관점에서 한반도의 미래가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한 우리의 시각에 바뀐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덧붙였다.

앞서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도 28일 브리핑에서 트럼프의 발언에 대한 즉답을 피하면서도 미국과의 동맹 관계는 여전히 견고하다고 말한 바 있다.

트럼프는 26일 뉴욕타임스(NYT)와의 인터뷰에서 자신의 외교정책을 소개하면서 한국과 일본의 핵무장 허용에 대한 질문에 “물론이다. 어떤 시점이 되면 논의해야만 하는 문제”라면서 “우리는 더는 세계의 경찰 노릇을 할 수 없으며 지금은 핵의 세상”이라고 말했다. 또한 “일본이 (핵무기를) 갖는 것이 미국에는 그렇게 나쁜 것만은 아니다”고도 말했다. 한국과 일본에 주둔하는 미군 철수와 관련해서는 동맹국들의 ‘안보 무임승차론’을 거듭 주장했다. 트럼프는 한국과 일본이 방위비 분담금을 획기적으로 올리지 않는다면 미군을 철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