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식회계 의혹 대우조선 매각 어떻게 되나

입력 2016-03-24 09:1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분식회계 의혹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자, 연내 매각 가능성이 타진되던 대우조선 매각 계획에 일부 차질이 생길지에 관심이 쏠린다.

KDB산업은행은 이르면 상반기 중 대우조선의 실적 등을 바탕으로 매각 추진 여부를 결정하려 했지만, 분식 회계에 따른 주주들의 집단 소송과 수주 악영향 등에 따라 대우조선 매각이 늦춰질 거라는 관측이 나온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대우조선 외부감사인인 딜로이트안진회계법인은 지난해 추정 영업손실 5조5000억원 가운데 약 2조원을 2013년과 2014년의 재무제표에 반영했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리고 최근 회사 측에 정정을 요구했다.

이렇게 되면 대우조선의 2013년과 2014년 영업이익이 달라진다. 이번에 발견된 누락 비용과 손실 충당금을 정정해 반영할 경우 과거 흑자였던 대우조선의 영업이익은 적자로 바뀌게 된다.

이에 따라 대우조선에 대한 금융당국과 산은의 매각 계획에도 일정 부분 변화가 생길 것으로 보인다.

그간 산은은 대우조선 매각의 전제조건으로 대우조선의 정상화를 내세우며, 올 상반기 대우조선 자회사 매각과 다운사이징 및 흑자 전환 등의 실적을 바탕으로 올해 내 매각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었다.

특히 산은은 대우조선 매각을 위해서는 포트폴리오 변화와 다운사이징을 통해 경영정상화가 선제돼야 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해왔다.

현재 대우조선의 포트폴리오는 해양플랜트 50%, 선박 40%, 방위 10%로 구성됐지만, 향후 30%, 60%, 10%로 포트폴리오를 재조정해 선박 비중을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안진이 대우조선 감사에 대한 오류를 사실상 인정하고 나섬에 따라, 대우조선의 경영정상화는 더욱 요원해질 전망이다.

조선업 특성상 분식회계 의혹이 제기되면 대우조선이 향후 글로벌 선사들로부터 선박을 수주하는 과정에서 큰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손실 축소 기간에 주식을 사들인 주주들의 향후 집단 소송 또한 예견되고 있어 대우조선의 타격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검찰은 전임 경영진의 대규모 분식회계 의혹에 대해 수사 중이며, 금융당국도 올해 초 고의적인 분식 여부를 의심해 회사와 회계법인에 대한 회계 감리에 착수한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