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업주부의 비율이 처음으로 2년 연속 감소했다. 정부의 경력단절 여성인력(이하 경단녀)에 대한 지원과 직장 여성의 육가활동 지원 등이 주요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21일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가사'와 '육아'를 이유로 경제활동을 하지 않은 여성(전업주부)은 708만5000만명으로 1년 새 5만8000명(0.8%) 줄었다.
결과에 따르면 20∼30대 여성들의 사회활동이 증가하고 40대 이상 여성들도 홑벌이만으로는 생활을 꾸리기 어려워 직업 전선에 뛰어들면서 전업주부 수가 2년 연속으로 감소했다. 지난해 여성 비경제활동인구가 1만8000명(0.2%) 늘었는데도 전업주부는 감소한 것이다.
전업주부는 관련 통계 조사가 시작된 2000년 638만명에서 2013년 730만명으로 13년간 꾸준히 증가했다. 이 기간 91만4000명이 늘었다.
2000년대부터 경제활동을 하는 여성이 점차 증가했으나 인구 증가, 고령화 등 인구구조 영향으로 전업주부 수도 계속해서 늘었다.
상황은 2014년부터 달라졌다. 전업주부는 전년보다 15만5000만명(2.1%) 줄었는데, 이는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이후 처음이었다.
2년 연속 줄어든 전업주부는 올해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1∼2월 조사에선 작년 같은 기간보다 9만3000명(1.2%)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전업주부 수가 감소세로 돌아선 것은 고학력 여성들의 노동시장 진입이 활발해지면서 20∼30대 여성 비경제활동인구가 줄어든 데 따른 것이다. 육아와 가사에 전념하던 전업주부들도 적극적으로 구직에 나서면서 여성 고용률(15∼64세 기준)은 2012년 53.5%에서 지난해 55.7%로 높아졌다.
다만 이런 고용률은 OECD 회원국 평균인 58.0%(2014년)에 못 미치는 상황이다.
정성미 한국노동연구원 전문위원은 "시간제 일자리, 보육비 지원 정책과 육아휴직 활용 장려 등도 복합적으로 영향을 줬다"며 "결혼 연령이 점차 늦어지는 현상, 출산 기피 현상이 겹쳐 전업주부 수는 앞으로도 줄어드는 추세를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여성이 일을 위해 밖으로 나서는 현상은 50~60대 여성의 일터 복귀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육아 부담에서 벗어난 중년 이후 주부들이 노후자금과 생활비를 벌기 위해 대거 부업이나 시간제 일자리를 찾아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1년 새 맞벌이 가구가 2.6%(13만1000가구) 증가했다. 특히 60세 이상에서 맞벌이 가구가 93만4000가구로 6.7% 늘었다. 전 연령대 가운데 증가 폭이 가장 컸다.
50대 맞벌이 가구(168만5천가구)도 전년보다 4.7% 증가했다.
반면 40대 맞벌이 가구는 0.2% 증가하는데 그쳤다. 30대와 15∼29세는 인구 감소 등의 영향으로 각각 0.4%, 7.1% 줄었다.
50∼60대 여성 경제활동인구가 부쩍 늘어난 것은 해당 연령대 인구가 늘어난 영향도 있지만 베이비붐 세대들이 노후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일터로 나선 영향이 크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주택 가격 상승세가 꺾이고 금리가 하락해 자산 가치는 떨어지고 있는데 평균 수명은 길어져 베이비붐 세대가 일을 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