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핀 소자 기반 '당뇨패치 기술' 개발

입력 2016-03-22 0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산하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김두철)은 그래핀 소자로 만든 다기능 센서를 활용해 혈당 농도 측정의 정확도를 높인 당뇨패치 기술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IBS 나노입자연구단은 "기존 당뇨패치는 땀 속의 당 함량을 측정해서 혈당을 계산하는 데 반해 이번에 개발한 패치는 땀 속의 당 함량과 땀의 온도, 산성도 등을 동시에 측정해 정확도를 높였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개발된 당뇨패치 기술은 그래핀 소자에 산성도ㆍ습도ㆍ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결합한 다기능 센서 시스템을 부착한 것이 특징이다. 또 당뇨 치료제를 투입하는 ‘미세약물침’에 특정 온도에서 녹는 코팅을 입히고 히터를 부착시켜서 혈당이 측정되면 히터에 의해 적절한 시점에 필요한 만큼 코팅을 녹여 약물이 최적으로 투입되도록 설계했다.

이 기술은 현재 쥐에 대한 실험이 완료됐고, 임상 단계는 아직 남아 있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김대형 연구위원(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은 “이 기술의 상용화가 이루어져 전자 피부 또는 패치 형태의 다양한 바이오 센서 시스템에 광범위하게 활용되면 세계 300억달러 당뇨병 치료시장 선점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세계적 권위의 학술지인 네이쳐 나노테크놀로지(Nature Nanotechnology, IF 34.048)에 3월 22일자로 온라인 게재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