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 하락에도 다우 0.13% 상승 마감…FOMC 앞두고 혼조세

입력 2016-03-16 09:1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제유가 하락 속에서 다우 지수가 0.13% 상승 마감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 회의를 앞두고 혼조세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된다.

(AP/뉴시스)

14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5.82포인트(0.09%) 상승한 17,229.13에 거래를 마쳤다.

같은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2.55포인트(0.13%) 내린 2,019.6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81포인트(0.04%) 높은 4,750.28에 장을 마감했다. 지수는 이날 하락 출발한 이후 다우지수와 나스닥 지수만 강보합세로 돌아섰다.

현지시간으로 15~16일 열리는미국 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앞둔 경계감이 지수 움직임을 제한한 요인으로 분석된다. .

업종별로는 에너지업종과 금융업종, 헬스케어업종, 소재업종이 소폭 하락했지만, 임의소비업종과 산업업종, 기술업종, 유틸리티업종은 소폭 상승했다. 업종별 등락 폭은 모두 1% 미만으로 크지 않았다.

시장 참가자들은 연준이 이번 주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기대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회의 후 발표되는 성명서와 재닛 옐런 의장의 발언에서 향후 금리 인상 시기와 속도에 대해 어떤 단서가 나올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선물 시장은 이달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제로(0)%로, 7월과 9월 인상 가능성은 각각 56%와 64%로 반영했다.

특히 이번 회의 이후에는 연준의 변경된 경제 전망치 또한 발표될 예정이어서 시장의 관심이 높은 상황이다.

소폭 상승하던 국제유가의 하락 반전도 증시에 부정적 재료다.

뉴욕유가는 이란이 당장 산유량 동결에 참여하지 않을 것을 확인한 데 따른 전 세계 공급 우위 지속 우려로 하락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4월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지난 주말보다 배럴당 1.32달러(3.4%) 낮아진 37.18달러에 마쳐 지난 3월 8일 이후 최저치를 보였다.

이란이 하루 400만 배럴의 원유를 생산할 때까지 산유량 동결그룹에 참여하지 않을 것을 확실히 함에 따라 유가가 하락압력을 받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