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들리는 국민기업 포스코⑨] 또다른 오판 ‘포스코플랜텍 살리기’…상장폐지 벼랑끝에

입력 2016-03-09 10:28수정 2016-03-10 12:0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900억대 유동성 지원 ‘밑빠진 독 물붓기’…울산공장 매각해 차액 260억 남겨야

포스코 계열사였던 포스코플랜텍(옛 성진지오텍)이 자본잠식을 해소하지 못하면서 상장폐지 위기에 몰리고 있다. 상장폐지 결정을 앞두고 울산 1, 2공장 매각 등 자구책을 마련해 실행하고 있지만 반전을 꾀하기 어렵다는 분석이 앞선다.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포스코플랜텍이 자본잠식에 빠지면서 관리종목으로 지정된데 이어, 자본잠식 해소사실을 입증하는 자료를 사업보고서 제출기한인 오는 30일까지 제출하지 못할 경우 상장폐지에 들어간다. 포스코플랜텍의 지난해 12월 기준 부채총액은 7227억원으로 자본총액 6050억원을 완전 잠식했다.

포스코플랜텍은 정준양 전 포스코 회장 시절 비자금 조성 혐의 등으로 지난해 검찰 수사를 받은 회사로 4년 연속 대규모 적자를 내왔다. 2015년 한 해 동안 연결 기준으로 1272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지난해 9월 기업재무구조개선(워크아웃)에 들어가면서 포스코 계열사에서 제외됐다. 포스코플랜텍은 재무 건전성을 높이기 위해 채권단과 맺은 약정에 따라 지난 1일부터 울산 1공장 가동을 중단했다.

문제는 정 전 회장이 포스코플랜텍의 전신인 성진지오텍을 인수할 당시부터 ‘고가 인수 논란’과 함께 권오준 회장이 수천억원의 유상증자를 하고도 경영정상화에 실패했다는 점이다. 권 회장은 지금까지 유상증자를 통해 밑 빠진 독에 물 붓는 격으로 2900억원대의 유동성을 지원했다. 최근 자본잠식 등 재무적 부담이 한층 커지면서 권 회장이 취임 당시 포스코플랜텍 구조조정을 안이하게 대처한 것이 가장 큰 오판이란 지적이 지배적이다.

포스코플랜텍은 재무 건전성을 높이기 위해 지난달 11일 울산 1·2공장 매각을 위한 입찰공고를 내고 같은달 18~19일 울산 2공장에서 비공개로 매각을 위한 현장설명회를 가진 바 있다. 우선 2공장을 인수할 업체는 비공개로 밝히지 않고 있으나, 매각가격은 인근 부지 시세가 평당 150만~200만원 정도로 형성돼 있는 것을 감안해 500억원 선으로 예측되고 있다. 울산 2공장 토지는 10만2161㎡다. 울산 1공장은 원매자를 찾지 못해 재매각을 시도할 예정이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공장 매각에 성공해도 자본잠식 해소까지 거리가 멀다는 시각이다. 자산인 공장을 매각하면 그 공장의 장부가만큼 자산이 줄어든다. 통상 장부가보다 실제 매각 가격이 더 높다. 그 차액만큼의 이익금이 발생하면 이를 부채를 상환하는 데 사용하는 것으로 최소한 260억원 이상의 차액이 발생할 경우 완전 자본잠식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시장 관계자는 “상장폐지 상황으로 몰리자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처음부터 유상증자는 잘못된 판단으로 육상플랜트 사업부문을 떼내 포스코건설과 합병하거나 지분을 매각하는 방식으로 구조조정에 들어 갔어야 했다”면서 “공장 매각대금이 들어와도 자본금의 50% 이상이 잠식된 상태라면 관리 종목으로 지정되고, 사업연도를 기준으로 연속 50% 이상 자본 잠식 상태가 지속되면 상장폐지 절차에 돌입하기 때문에 이를 긍정적인 요소로 해석하게 어렵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