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OB 등 도입 공감… “부당한 경영권 개입” 내부에선 강력 반발
29일 포스코와 정부 기관에 따르면 포스코 임원 자리가 권력의 전리품처럼 거래돼 온 정경유착 관행을 뿌리 뽑기 위해 외부 인사로 구성된 외부 상시 감시시스템 도입이 가시권에 접어들고 있다.
이 감시시스템은 포스코 내부 경영 사정에 중립적인 입장을 취할 수 있거나, 시민단체ㆍ변호사ㆍ회계사 등으로 구성하고 인사, 대규모 투자, 인수합병(M&A) 등 주요 경영적 판단에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이는 경영진의 독단적인 판단을 방지하고 철저한 견제와 감시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정경유착과 비리, 방만경영, 실적 부진 등 대내외적 악재를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조치로 풀이된다.
현재 외부 상시 감시시스템 도입은 포스코 전직 고위층과 청와대 등 정부 기관 등에서 심도 있게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포스코 내부에는 감사실 격인 정도경영실과 경영쇄신 작업을 주도하고 있는 가치경영실이 있지만, 실질적으로 본연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들 구성원의 인사권을 회장이 쥐고 있는 상황에서 정도경영실과 가치경영실의 감시와 사업적 판단에 한계가 있다고 보는 것이다.
포스코 내부 사정에 정통한 관계자는 “최근 내부 직원의 폭로로 포스코 경영진의 정치권 유착, 임직원의 도덕적 해이 등 고질적 비리의 단면이 도마 위에 오르면서, 이를 타개하기 위한 조치로 외부인으로 구성된 감시시스템 도입이 건의됐다”며 “권오준 회장과 황은연 사장 등의 경영 책임론에 무게를 두면서도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외부 감시 강화 조치가 수반돼야 한다는 지적이 반영됐다”고 말했다. 이어 “이 같은 조치에 대해 청와대와 포스코 OB들도 공감하고 있어, 다음 달 11일 열리는 주주총회를 전후로 본격적인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포스코 관계자는 “외부 상시 감시시스템 도입은 현실적으로 회장의 경영권에 개입하겠다는 의미로, 식물 포스코로 전락할 수 있는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고 했다.
문제는 외부 상시 감시시스템 도입을 놓고 현 경영진과 보이지 않은 제3의 권력이 대립하는 양상을 띄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19일 포스코 정기이사회에서 황은연 사장을 중심으로 한 정치권력 개입설에 대한 비판 여론에 부담을 느껴 황 사장의 등기이사 선임을 유보하자 포스코 안팎에선 제3의 권력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외부 상시 감시시스템이 갑작스럽게 거론되고 있는 것에 대해 일각에서는 권 회장의 임기가 만료되는 내년 3월 선임될 차기 회장 자리를 놓고 보이지 않는 권력이 본격적인 행보를 벌이고 있다는 시각도 있다. 포스코 출신 한 인사는 “포스코 경영진과 정치권의 정경유착 고리를 끊어내지 못하면 경영혁신은 있을 수 없다”라며 “외부 상시 감시시스템은 정치권과 유착된 경영인들이 회사 자산과 자원을 마음대로 사용하던 이제까지의 폐단과 같은 사례를 막을 수 있는 조치”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