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은 회장 후임, 조원동 전 경제수석 등 거론

입력 2016-02-04 10:51수정 2016-02-04 10:5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홍기택 산업은행 회장이 2일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부총재에 지명되면서 그 후임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부는 지난달 중순부터 산은 회장 후임자 검토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선 조원동 전 청와대 경제수석이 거론된다. 정부는 조 전 수석이 경제수석(장관급) 출신임에도 아직 민간에서 자리를 잡지 못한 데 부채의식을 가진 것으로 전해졌다.

조 전 수석은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청와대 경제수석실에서 정부 주도의 대기업 구조조정을 주도했다. ‘대마불사’의 편견을 깨고 대우그룹을 침몰시켰던 인물이다. 탄탄한 거시경제 경력이 가장 큰 강점으로 꼽힌다.

조 전 수석은 충청남도 논산 출신으로, 경기고와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행시 23회로, 재정경제부 경제정책국장, 차관보, 한국조세연구원장, 청와대 경제수석 등을 거친 옛 경제기획원(EPB)을 대표하는 관료다.

기업 구조조정과 산업 재편을 주도해야 하는 산은의 수장으로서는 음주운전 사건만 빼면 최적의 조건을 갖춘 셈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도덕적으로 훌륭한 분”이라며 “산은 회장이 아니더라도 다른 자리에 등용될 수 있는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관료 출신으로는 윤용로 전 기업은행장도 거론된다.

현재 법무법인 세종 고문인 윤 전 행장은 재무부, 재정경제부, 금융감독위원회에 30여 년간 몸담았다.

2007년 기업은행장 시절 글로벌 금융위기를 앞두고 선제로 자본을 확충해 주변을 놀라게 했다. 또 재임기간 중소기업대출 순증액의 90%를 기업은행이 담당하도록 해 은행의 브랜드 가치를 높였다는 평을 들었다.

민간 출신으로는 이동걸 전 신한금융투자 부회장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대구 출신인 이 전 부회장은 경북사대부고와 영남대를 졸업했다. 전형적 대구·경북(TK) 출신인 셈이다. 2012년 대선 당시 금융인의 박근혜 후보 지지 선언을 주도하며 현 정부 출범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박근혜 대통령의 ‘금융교사’로 불리던 정찬우 전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후보군에서 제외된 것으로 알려졌다. 또 꾸준히 거론됐던 이덕훈 수출입은행장도 일단 후보군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산은 회장은 금융위원장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