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硏, 美더블딥 우려·저유가 등 올해 6대이슈 선정

입력 2016-01-31 11:0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현대경제연구원이 올해 미국 경기의 더블딥 우려와 저유가 파급효과 등 6대 이슈를 선정했다.

현대경제연구원 주원 경제연구실장은 31일 '2016년 국내외 주요 경제이슈' 보고서에서 6대 이슈를 선정해 발표했다.

주 실장은 우선 미국 경제가 성장동력을 잃고 '더블딥(경기침체 후 잠시 회복기를 보이다가 다시 침체를 겪는 이중침체 현상)'에 빠질지 확장국면에 진입할지를 올해 가장 중요한 이슈로 언급했다.

또한 저유가 파급효과도 세계 경제에 만만치않은 영향을 끼칠 것이라며 "산유국들의 거시건전성을 악화시키고 세계 경제의 디플레이션을 심화시킬 것이라는 부정적 입장과 유가하락이 가계와 기업의 실질 구매력을 높여 내수 회복에 도움이 되리라는 긍정적 주장이 맞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주 실장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과 함께 중국경제의 경착륙 여부에도 주목했다.

주 실장은 "경기둔화 정도로 연착륙할 수도 있지만, 반대로 경착륙하면서 침체국면으로 빠져들 수도 있다"며 "중국 경제의 불안은 교역국에 위기를 전염시키는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그는 교역량 등을 바탕으로 중국 리스크에 노출도가 높은 국가를 조사한 결과 몽골(42.1%), 오만(28.7%)에 이어 한국(10.3%)이 3위를 기록했다고 소개했다.'

국내 경기 부문에서는 "회복이 지연되고 있다는 시각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며 "다만 일각에서는 경기사이클이 회복 국면에 진입했다는 주장도 있어, 양측의 논쟁이 올해 최대의 이슈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함께 수출 증가율 감소세가 앞으로도 계속될지, 아니면 경기가 개선되면서 수출도 침체 국면에서 탈출할지도 주목해야 한다고 소개했다.

그는 "중국 경제의 성장 둔화 때문에 수출경기도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이 대부분"이라면서도 "다만 세계시장에서 우리 제품의 점유율이 높아지고 있어 부정적으로만 볼 수는 없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