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CJ헬로비전 인수합병, 찬반양론 대립 심화… 정부심사 영향 미치나?

입력 2016-01-26 14:5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가 SK텔레콤의 CJ헬로비전 인수합병 인허가 여부를 심사 중인 가운데 찬반양론이 치열하게 대립하고 있다. 최근 정부가 대국민 의견수렴에 나서면서 이같은 양상은 더 심화되는 양상이다.

심영섭 한국외대 교수는 26일 이재영 새누리당 의원 주최로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인수합병 인허가는 방송통신시장의 10년 후를 예측해 정책 목표와 방안을 수립한 뒤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심 교수는 “이번 인수합병은 통신기업이 방송기업을 인수하는, 기존에는 없었던 새로운 경로”라며 “규제 기관이 시장 압박에 따라 단순하게 행정 처리를 해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두 회사의 인수합병 이후 방송상품이 이동통신상품의 끼워팔기 상품으로 전락하고 전통적인 방송사업자가 플랫폼에서 퇴출당할 수 있다”며 “합병 법인의 독과점이 나타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아날로그 케이블TV에 가입한 소비자들의 권익을 저해하고, 이종 방송사업자 간 겸영을 제한하는 방송 관련 법규를 위반할 수 있으며, 케이블TV의 지역성을 침해할 수 있다는 점도 꼬집었다.

SK텔레콤은 토론회 현장에서 제시한 반박 자료를 통해 “이종 플랫폼 겸영을 허용하면 안 된다는 주장은 이미 IPTV와 위성방송을 가진 KT의 독주를 유지하겠다는 의미”라고 주장했다.

SK텔레콤은 이어 “이번 인수합병이 현행 방송법이나 통합방송법안에 어긋난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고, 그런 주장에 따른다면 KT스카이라이프 주식 50.1%를 보유한 KT도 법률을 위반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LG유플러스는 지난 14일 신년 기자 간담회에서 SK텔레콤이 CJ헬로비전 인수합병으로 시장을 독식해 공정거래를 저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당시 SK텔레콤이 곧바로 반박 기자회견을 열면서 끝장 공방전을 방불케 했다.

미래창조과학부가 25일부터 내달 15일까지 SK텔레콤의 CJ헬로비전 인수합병에 관한 의견을 수렴 하고 있는 만큼 공방은 더 심화될 전망이다.

일각에선 찬반양론이 극명하게 갈리는 만큼 정부의 심사 기간이 늦춰질 수도 있다는 시각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인수합병으로 인해 업계에 미치는 파장이 워낙 큰 만큼 찬반 갈등도 더 심해질 것”이라며 “정부가 기한 내에 한쪽편을 들어주기 어려워 연장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예상했다.

이에 대해 심사 기관인 미래부와 방통위는 “이해 당사자가 많아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지만, 일정의 변화는 없다”며 “인수합병 승인건은 예정대로 진행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