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장사업 한다면서 첫발도 못 뗀 삼성전자

입력 2016-01-21 10:2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지난해 12월‘미래 먹거리 선언’ 후 조직도 못그려… 기획·연구개발 등 전문인력 부족에 ‘인력 빼가기’ 논란 부담 겹치며 인재영입 움직임 없어

▲삼성전자 서울 서초사옥 전경.
삼성전자가 지난 연말 조직개편을 통해 신수종 사업으로 신설한 전장(電裝)사업팀이 조직 구성에 난항을 겪고 있다. 팀을 구성하는 조직도도 마련하지 못한 채 사업의 첫발조차 제대로 떼지 못하고 있다.

21일 삼성과 관련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지난해 12월 초 차기 미래 먹거리로 공식 선언한 자동차 전장사업이 한달 넘게 답보 상태에 있다. 당시 삼성전자는 자동차 전장사업에 진출하기 위해 전장사업팀을 전사조직으로 신설하는 조직개편과 보직인사를 발표했다. 전장사업팀은 단기간 내 전장사업 역량 확보를 목표로 초기에 인포테인먼트, 자율주행부문에 집중하기로 했다.

전장사업팀의 수장으로는 박종환 생활가전 C&M사업팀장 부사장이 발탁됐다. 박 부사장은 1995년부터 2년간 삼성자동차 전략담당 실무자로 자동차 사업을 경험한 인물이다. 여기에 삼성전자 이사회 의장이자 부품(DS)부문 대표인 권오현 부회장이 전장사업팀을 관장케 해 힘을 실어줬다.

하지만 전장사업팀은 이날 현재까지 구성되지 못하고 있다. 심지어 기획부터 연구개발까지 기본적인 조직도 갖추지 못하고 있다. 이는 조직 신설 발표 뒤 진행된 삼성전자 글로벌 전략회의와 최고경영자(CEO) 세미나에서 전장사업이 관심있게 다뤄진 것에 비춰 볼 때 이해하기 힘든 구석이다.

삼성전자에 정통한 관계자는 “삼성전자 조직구성에서 전장사업팀은 아직까지 마무리하지 못했다”고 귀띔했다.

전장사업 영역에 필요한 핵심인력 수혈을 위한 움직임도 표류하고 있다. A 헤드헌터 L 이사는 “삼성전자의 전장사업팀 조직안이 확정되지 않은 것 같다”며 “전문 영역이기 때문에 삼성전자 입장에서도 반드시 관련 인력을 영입하기 위한 움직임이 있어야 하는데 전혀 없다”고 말했다.

다른 헤드헌터도 비슷한 상황을 전했다. B 헤드헌터 K 대표는 “삼성전자의 전장사업팀은 최고 책임자만 앉힌 채 구체적으로 시작하지 않은 것으로 안다”며 사업시작까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이같은 배경에는 해당 영역의 전문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현재 인력 스카우트 시장에서는 전장 관련 인력이 드물 뿐 아니라, 있다고 하더라도 해외기업이 끌어가려는 1순위 고객에 속한다. 특히 중국 기업들이 차기 시장을 주도할 스마트카 연구개발 인력에 공을 들이고 있다.

더욱이 삼성전자 입장에서는 자칫 ‘인력 빼가기’ 논란에 휩싸일 수 있다는 점이 인력확보의 부담 요인으로 작용한 모양새다. 상황에 따라 법정소송으로 비화될 경우 기업 이미지에 적잖은 타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 대기업 핵심 기술직 근무자들은 ‘동종업계 취업금지 서약서(겸업금지 약정서)’를 작성하는 게 관례로 돼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