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대떡의 어원과 유래…17세기 중국 떡 ‘빙져’가 시작

입력 2016-01-20 23:0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출처=tvN ‘집밥 백선생’ 방송 캡처 )

빈대떡의 어원은 중국에서 시작됐다.

빈대떡과 관련된 단어로 가장 오래된 것은 17세기 문헌에 보이는 ‘빙져’이다. 이는 ‘餠’라는 중국어이다. 이 ‘빙져’라는 단어가 그 실물과 함께 중국어에서 국어로 직접 들어온 것이다. 중국의 ‘빙져’는 녹두를 맷돌에 갈아 그 분말을 지져서 먹는 떡이니 지금의 ‘빈대떡’과 일치한다.

‘빙져’라는 단어는 17세기에 ‘빙쟈’로도 나온다. ‘빙쟈’는 ‘빙져’의 제2음절 모음이 음성모음에서 양성모음으로 바뀐 어형이다. 이 ‘빙쟈’는 좀더 내려와 19세기 말 문헌에는 ‘빈쟈’으로 변형되어 나온다. 제1음절의 ‘빙’이 ‘빈’으로 바뀌어 있을뿐더러 우리말 ‘(〉떡)’이 첨가되어 3음절 단어가 됐다.

이 ‘빈쟈’이 20세기 초 문헌에는 ‘빈자떡, 빈자’ 등으로 표기되어 나온다. ‘빈자떡’의 ‘빈자’는 물론 ‘빈쟈’로부터 변한 것이다. ‘빙쟈’가 ‘빈쟈’를 거쳐 ‘빈자’로 변하자, 그 어원을 잃고 한자 ‘빈자(貧者)’로 간주하여 ‘빈자떡’을 급기야 ‘가난한 사람들이 먹는 떡’으로 해석하기에 이른다. 물론 이는 전형적인 한자부회(漢字附會)이다.

이렇게 보면 17세기의 ‘빙져’는 ‘빙쟈’를 거쳐 ‘빈쟈’으로 변했다가 다시 ‘빈자떡’으로 변한 것이 된다. 그런데 ‘빙져’의 변화는 ‘빈자떡’에 머문 것이 아니고 ‘빈대떡’에까지 이르고 있어 눈길을 끈다. ‘빈대떡’이라는 단어는 ‘빈자떡’과 비교하여 제2음절에서만 차이를 보이는데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단어로 추정된다. 이 말은 19세기 말이나 20세기 초의 사전에도 잘 나오지 않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