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매입형 임대주택 1500가구 공급

입력 2016-01-06 08:2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서울시는 주거 취약 계층의 주거불안 해소를 위해 올해 매입형 임대가구 1500가구를 공급한다고 6일 밝혔다.

매입형 임대주택은 서울시가 저소득 가구나 청년층의 주거부담을 낮추기 위해 지난 2002년부터 공급하는 것으로 전용면적 85㎡ 이하 다가구‧다세대주택이다. 보증금은 평균 1500만원, 월 임대료는 평균 15만원 내외 수준이다. 최장 20년까지 거주할 수 있다.

서울시의 이번 매입형 임대주택은 저소득 맞벌이 가구, 노인층, 청년, 1인가구 등의 주거 문제를 해소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전체 1500가구 중 △450호는 저소득 맞벌이 가구, 노인층, 청년 등의 주거문제 해소를 위한 ‘맞춤형 주택’ △200호는 쪽방, 고시원 등 비주택시설에 거주하는 ‘1인가구 대상’△ 150가구는 대학생 주거문제 해결을 위한 ‘희망하우징’ 형태로 공급한다.

이 중 ‘맞춤형 주택’은 청년 맞춤형주택 200가구와 저소득 맞벌이 가구 및 노인층 등 기타 수요를 위한 맞춤형주택 250가구로 세분화 된다.

또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200가구는 주거환경이 열악한 비주택시설에 3개월 이상 장기 거주하는 소득 50% 이하의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다. 이 중 100가구는 올해 처음으로 커뮤니티공간과 복지지원시설이 포함된 '지원주택'으로 공급된다. 지원주택은 쪽방, 여관 등 비주택시설에 장기체류하는 주거취약계층을 전문가가 상주하며 상시 관리하는 새로운 개념의 복지주택이다.

대학생을 위한 ‘희망하우징’은 커뮤니티 공간 등 공동생활 공간이 포함되는 쉐어하우스 형태로 대학가 주변에 공급된다. 부모가 무주택자인 경우에만 지원할 수 있었던 ‘희망 하우징’의 지원자격은 올해부터 주택이 있더라도 월 평균 소득이 50~70% 이하인 경우까지 확대된다.

이밖에 시는 올해 매입형 임대주택 공급분 중 조립식 형태의 ‘모듈러주택’ 30가구를 시범적으로 매입·임대해 입주민의 만족도에 따라 확대할 예정이다.

시는 강남‧서초‧송파‧강동 등 강남4구 재건축 단지의 이주수요에 대비, 이 지역 저소득층의 이사수요를 위해 최소 300가구 이상의 주택을 매입할 계획이다.

이에 시는 오는 11일부터 주택을 매입한다. 매도를 희망하는 다가구‧다세대 주택 소유주를 대상으로 신청 접수를 받으며, 대상 주택은 ‘기존주택’과 토지 확보 후 착공 전 상태인 ‘건축예정주택’ 두 종류다.

신청은 SH공사 홈페이지(www.i-sh.co.kr)에서 신청서를 내려받아 해당 자치구의 건축과와 SH공사 매입주택팀에 직접 방문하거나 우편접수하면 된다.

정유승 서울시 주택건축국장은 “양질의 다가구‧다세대주택을 다량으로 매입해 다양한 유형의 저소득 가구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저렴하게 임대함으로써 주거불안을 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