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발 환율전쟁 서막…각국 환율방어 셈법 복잡해져
가장 먼저 대응에 나선 것은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쿠웨이트, 바레인 등 중동 4개국이다. 미국 금리인상 전부터 달러 강세에 몸살을 앓았던 이들 국가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6일(현지시간) 금리인상을 단행하자 같은 날 바로 금리인상에 나섰다. 인상 폭도 연준과 같은 0.25%포인트였다. 모하마드 알 하살 쿠웨이트 중앙은행 총재는 “국가통화의 경쟁력을 지키고 국가 경제 지지를 위해 금리를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들 4개국은 중동 6개 국가가 모인 걸프협력회의(GCC) 소속으로 쿠웨이트를 제외하고 미국 달러화에 자국 통화를 고정한 환율 페그제를 운용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에 나머지 GCC 회원국인 오만과 카타르도 조만간 금리인상 대열에 합류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달러 페그제를 운용하는 이들 국가 통화 가치는 달러가 강세를 나타내면 상대적으로 하락하게 되고, 자금 이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미국 금리인상은 산유국 입장에서 반가운 소식은 아니다. 가뜩이나 걸프 산유국은 지난 1년 전만해도 배럴당 100달러대였던 유가가 공급 과잉 등으로 40달러 밑으로 추락하면서 재정수입이 크게 줄었다. 특히 그간의 미국 금리인상 전망이 달러 강세를 부추겨 유가 하방 압력을 키웠다는 평가다.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현실화로 유가 하락세가 고착된다면 산유국으로선 곤란한 처지가 아닐 수 없다. 걸프 지역 산유국은 내년 평균 유가가 배럴당 50달러 정도까지 오를 것으로 보고 예산을 편성하고 있어 유가가 기대 수준으로 회복되지 않는다면 재정 적자 가능성이 그만큼 커진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이들 국가가 장기적으로 저유가에 대비하려면 달러 페그를 폐지해 환율로 방어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그렇지 않으면 이번처럼 유가는 내려가는 데 금리는 올려야 하는 불일치가 생길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미국 금리인상은 산유국 외 다른 국가의 셈법도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 석유수출국기구(OPEC) 역외 산유국인 멕시코 중앙은행도 기준금리를 3.0%에서 3.25%로 상향 조정하며 환율 방어에 나섰다. 아시아 및 유럽 국가들도 금리를 조정하며 환율 전쟁에 동참하고 있다. 홍콩 중앙은행도 17일 기준금리를 0.5%에서 0.75%로 0.25% 포인트 인상했다. 그러나 같은 날 대만은 기준금리를 0.125% 포인트 내린 1.625%로 조정했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자 홍콩과 사우디아라비아 등이 기준금리를 올린 것과 상반되는 행보다. 이는 금리를 내려 수출 경제를 되살리겠다는 의도다. 다만, 필리핀과 노르웨이는 기준금리 동결에 나섰다. 그러나 노르웨이 경우 내년 상반기에 추가 인하를 단행할 수 있다며 금리 인하 여지를 남겼다.
중국은 미국 금리인상을 앞둔 지난 11일 주요 13개 교역대상국의 통화를 토대로 산출한 위안화 바스켓지수를 발표했다. 사실상 위안화 평가절하를 위한 포석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해석이다. 실제로 위안화 가치는 17일까지 9일 연속 하락해 달러화 대비 위안화 기준 환율은 6.4757위안이었다. 일본은행(BOJ)은 18일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 조정 여부를 결정한다. 시장에서는 동결을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