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바오류 시대’ 공식화…인민은행, 올해 성장률 전망 6.9%로 낮춰

입력 2015-12-17 08:20수정 2015-12-17 10:1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내년 성장률은 6.8%로 제시…중국이 6%대 성장률 공식 인정한 것은 처음

중국이 경제성장률 6%대를 의미하는 ‘바오류(保六)’ 시대를 공식화했다. 중국 인민은행은 16일(현지시간) 내부 보고서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을 지난 6월의 7.0%에서 6.9%로 하향 조정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보고했다.

인민은행 리서치국의 마쥔 수석 이코노미스트 주도 하에 작성된 이 보고서는 내년 성장률 전망도 6.8%로 제시했다. 중국 정부의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는 7%다. 정부기관이 성장률 6%대를 공식적으로 인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보고서는 대체로 내년 경기전망을 낙관했다. 올해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1.5%를 기록하고 나서 내년에 1.7%로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어 부동산 판매 회복세가 전체 경제성장을 이끌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 올해 고정자산 투자 증가율이 10.3%를 기록하고 나서 내년에 10.8%로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수출은 내년에 3.1% 증가해 올해 감소세에서 벗어날 것으로 기대했다.

경기하강 압력을 더하는 요인으로는 설비과잉 문제에 허덕이는 제조업 실적 부진과 부실 채권 증가 등을 꼽았다. 이런 낙관적인 전망에도 인민은행이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올해보다 낮게 제시했다는 것은 중국 경기둔화 심화를 반증하는 것이다.

특히 중국 국무원 직속 싱크탱크인 사회과학원도 같은 날 6%대 성장률을 전망치로 내놓아 관심을 끌고 있다. 사회과학원은 이날 보고서에서 내년 경제성장률이 6.6~6.8%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인민은행이 ‘구조적으로 느슨한’ 통화정책을 계속 펼쳐야 한다고 권고했다. 사회과학원은 지난 여름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을 종전 7.0%에서 6.9%로 낮췄다.

한편 사회과학원은 내년 CPI 상승률은 2.1%로 가속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는 지난해 중반 이후 최고 수준이다. 그러나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사상 최장 기간 하락세를 내년에도 이어가 제조업 부문 디플레이션이 4년 넘게 계속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인민은행과 사회과학원 모두 6%대 성장률을 예상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 정부는 곧 개최할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바오류’를 사수하기 위한 경제정책 운용 방향을 논의할 전망이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달 중국 경제성장률 마지노선을 6.5%로 제시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