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결선투표제’ 등 공천룰 내홍조짐… 이재오 “본선 경쟁력 현저히 약화”

입력 2015-12-09 11:3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새누리당이 내년 20대 총선의 당내 후보자 경선을 위한 공천룰에 ‘결선투표제’를 도입한 것과 관련해 반발이 제기되고 있다. 당원과 일반 국민의 경선 참여 비율을 50대50으로 결정한 것이 정치신인에 불리할 뿐 아니라, 결선투표제가 본선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비박계 중진인 새누리당 이재오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우리당은 누구든지 신인들의 진입장벽을 낮춰야 한다”면서 “원내외 위원장들이 당원 관리하고 있는 상황인데 당원들의 경선 참여 비율을 줄이는 것이 신인들 진입장벽 낮추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지난 6일 비박계와 친박계 최고위원들이 만찬을 통해 당원과 일반 국민의 경선 참여 비율을 50대 50으로 유지하기로 합의한 것도 비판했다. 그는 “당원들의 권한 행사를 50대50으로 한다는 것은 신입들의 원내진입장벽 높이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당내외 위원장이 당원들을 장악하고 있는데 그걸 50대50으로 하면 말이 안 맞는다”며 “당에서 오픈프라이머리 제시하고 여야 합의까지 이뤘는데 그게 무색해졌다”고 했다.

이 의원은 결선투표제에 대해서도 “본선 경쟁력을 현저하게 약화시킨다. 특히 수도권 같은 곳에서는 (더 그렇다)”면서 “본선이 따로 있는데 후보 경선을 두 번 치르는 제도가 도대체 어느 나라에 있는 것인지, 이게 합당한 것인지 (모르겠다) 현 상황에서 결선투표는 문제점이 더 클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채택 과정에 대한 절차적인 문제도 제기했다. 특히 “이는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당헌·당규에 근거가 있어야 하는데, 새누리당 당헌에 결선투표라는 것은 없다”며 “이걸 운반하는 과정이 민주적이어야 한다. 의총에서 결선투표제 도입 결정하고 그 내용을 특위에 넘겨서 방법을 어떻게 할 것인가 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이인제 최고위원이 곧바로 반박했다. 그는 “결선투표제 뭔가 오해가 계시지 않나 싶다”면서 “결선투표제라는 것은 경선의 한 방식이다. 당헌당규하고 아무 상관이 없는 문제”라고 설명했다. 이 최고위원은 “결선투표는 예외 없이 50%가 안 넘으면 1등 2등만 남아서 해야 한다고 본다. 그래야만 신인들에게도 기회가 주어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자 곧바로 김을동 최고위원이 “과연 전국에서 50% 넘는 투표를 획득하는 곳이 거의 몇 군데 있겠나”고 의문을 제기하며 “저는 거의 전무하다고 본다. 여기에 대해서 조금 다른 의견을 갖고 있다”고 반대 입장을 밝혔다.

이처럼 결선투표제 등의 공천룰을 둘러싼 당내 계파 간 갈등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미국 출장 중인 황진하 사무총장은 전날 MBC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전화인터뷰에서 “결선투표제를 도입하면 최초 경선에서 탈락된 분들이 이합집산 현상을 보일 수 있다”면서 우려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