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S서거] 김영삼 전 대통령, 조선총독부 건물 해체·외규장각 도서 반환 초석 마련

입력 2015-11-22 15:02수정 2015-11-22 15:0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진은 1998년 1월, 김영삼 대통령이 '제심합력(齊心合力)'이라는 새해 휘호를 쓰는 모습. (사진출처=연합뉴스 )
22일 서거한 김영삼 전 대통령은 문화정책 분야에서도 큰 발자취를 남겼다.

김 전 대통령은 취임 첫 해인 1993년에 국립박물관으로 사용하던 옛 조선총독부 건물을 해체해 경복궁을 복원하고, 새로운 국립중앙박물관을 국책사업으로 건립하라는 특별지시를 내렸다.

이에 문화부는 용산가족공원 4만5000평 규모의 부지에 1994년부터 7개년 계획으로 새로운 국립중앙박물관을 건립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광복 50주년이 되는 해인 1995년 조선총독부 건물을 철거하고, 새천년을 맞는 2000년 통일시대를 대비해 건국 이후 처음으로 우리 손으로 지은 박물관을 건립한다는 정책은 당시 국민적 공감을 얻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치욕의 역사도 역사이니만큼 역사로서 보존돼야 한다는 정치권과 학계의 반대도 컸다.

일본 정부가 자신들이 지은 건물이니 모든 비용을 들여 건물 자체를 자국으로 통째로 옮겨가고 싶다는 의사를 타진했다는 야사도 전해진다.

그러나 김 전 대통령은 숱한 반대를 무릅쓰고,반대편으로부터 독선이라는 비난을 받으면서도 정책을 추진했다.

이에 따라 1926년부터 20년 동안 한국민에 대한 악랄한 수탈을 자행해온 일제 식민통치의 총본산이 1995년 이 땅에서 영원히 자취를 감추게 됐다.

애초 2000년에 완공할 계획이었던 용산 국립중앙박물관은 외환위기 등의 변수로 2005년에 문을 열었다.

아울러 김 전 대통령은 병인양요 당시 프랑스군이 약탈해 간 외규장각 도서가 프랑스 국립도서관에서 국내로 반환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1993년 고속철 수주를 위해 방한한 프랑스의 미테랑 대통령은 김 전 대통령의 요청으로 '휘경원 원소도감' 상하 두 권을 가져와 한 권을 한국에 반환했다. 이때부터 외규장각 도서 반환 협상은 급물살을 타게 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