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 화쟁위, 민주노총 중재 요청 수용…4대강, 쌍용차 중재했던 화쟁위 무엇?

입력 2015-11-19 21:4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민주노총 중재 요청 수용

▲조계종 화쟁위원회 위원장 도법 스님이 1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민중총궐기' 시위 이후 조계사로 피신한 한상균 민주노총 위원장의 신변보호 요청에 대한 화쟁위원회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뉴시스)

대한불교조계종 화쟁위원회가 19일 조계사로 피신한 한상균 민주노총 위원장의 중재 요청에 대해 "요청 내용이 무엇인지, 각계각층의 의견이 어떠한지 등을 자세히 살펴가면서 당사자, 정부 등과 함께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지혜로운 길을 모색하겠다"며 중재 요청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동시에 화쟁위에 대한 관심도 커졌다.

화쟁위는 한 위원장을 만나 요청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부터 시작해 관계된 사람들을 모두 만나면서 중재 방안을 모색해 나가겠다는 입장이다.

화쟁위의 이번 결정은 사회적 현안과 갈등을 중재한다는 위원회 설립 취지와 불법 폭력 시위를 주도한 혐의로 검경의 수배를 받고 있는 한 위원장을 비호한다는 비판 여론 사이에서 고심 끝에 내린 결정으로 보인다.'

화쟁위는 사회 현안과 갈등을 중재하고 대화와 타협을 통해 문제를 풀고자 조계종이 2010년 구성한 기구다. 위원장인 도법 스님 등 7명의 스님과 재가자인 각계인사 8명, 기획위원 등 총 28명으로 구성돼 있다.

그동안 4대 강 사업, 한진중공업 사태, 쌍용자동차 사태, 강정마을 문제, 철도 노사 문제 등 사회 현안에 개입, 갈등을 중재하는 역할을 해왔다.

특히 2013년 철도 민영화 문제로 사측과 갈등을 빚던 철도노조의 박태만 부위원장 등이 조계사로 피신해 왔을 때에는 '철도문제 해결을 위한 특별위원회'를 구성, 철도파업 사태 중재에 본격적으로 나선 바 있다.

화쟁위원회 위원장인 도법 스님은 회견에서 "한 위원장이 조계사에 들어온 것과 관련해 사회적으로 찬반 논란이 있다. 한 위원장이 조계사에 들어온 것과 관련해 엄격한 법 집행이 필요하다는 의견, 종교단체로서 자비행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 모두 가벼이 여길 수 없는 것들"이라며 "오늘 회의는 다양한 사회적 의견을 어떻게 조화시켜 나갈지에 대한 고민과 숙의의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