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협회ㆍ산업부ㆍKIEP, 통상산업포럼 국제컨퍼런스 개최

입력 2015-11-10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국무역협회는 서울 나인트리컨벤션에서 산업통상자원부, KIEP와 함께 ‘2015 통상산업포럼 국제컨퍼런스’를 개최했다고 10일 밝혔다.

세계 무역체제의 신 패러다임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이번 컨퍼런스는 김인호 무역협회장을 비롯해 윤상직 산업부 장관, 이일형 KIEP 원장, 프레드릭 아가 WTO 사무차장과 24명의 국내회 석학․통상전문가들이 참가해 토론을 벌였다.

이날 컨퍼런스는 ‘메가 FTA와 국제 무역체제의 변화’,‘TPP : 한국의 현 위치와 대응방안’, ‘중국의 일대일로 프로젝트 : 향후 전망과 한국에의 시사점’ 등 총 3개의 주제로 진행됐다. 국내 주요 수출기업들은 물론 외투기업 임직원, 주한 각국대사, 주한 외국경제단체장, 학계인사 등 500여명의 국내외 청중들이 참석해 마지막 세션까지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첫 번째 세션 ‘메가 FTA와 국제 무역체제의 변화’의 발표자인 알란 디어도프 미국 미시건대 교수는 “최근 국제통상환경에 있어서 메가 FTA 시대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무역 체제의 변화가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다”며 “다만 메가 FTA가 단일의 통상질서로 고착되기보다는 기존 양자 FTA, 그리고 WTO 체제와 상호보완적으로 공존해 나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피터 패트리 미국 브랜다이스대 교수는 ‘TPP : 한국의 현 위치와 대응방안’세션에서“한국이 TPP의 신규 참여국이 된다면 한국은 물론, 기존 TPP회원국에게도 실은 거의 없는 득이 되는 선택이 될 것”이라며 “한국은 TPP 참여를 통해 메가 FTA 시대라는 신패러다임속에서 주요국으로서의 역할비중이 강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마지막 세션인 ‘중국의 일대일로 프로젝트 : 향후 전망과 한국에의 시사점’에서는 발표자들과 토론자들이 중국의 일대일로 대외정책의 도전과 기회에 대해 살펴보고, 앞으로 변화하는 동아시아 통상질서 체계 속에서 한국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 집중 논의했다.

김인호 무역협회장은 “우리 정부가 메가 FTA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속에 능동적으로 참여해 우리 업계에 유리한 방향으로 세계 통상질서의 룰이 재편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며 “이를 위해 국내외 석학들을 통해 우리나라의 통상정책에 대해 진단하고 미래를 위한 제언을 듣는 자리를 마련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