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중 경제계 “저성장 시대, 출혈 경쟁 아닌 새로운 협업 필요”

입력 2015-11-01 14:3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제5차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 개최

한국ㆍ일본ㆍ중국 경제대표인들이 저성장 시대의 해법을 함께 도모하고자 모였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일본경제단체연합회, 중국국제무역촉진위원회(CCPIT)와 함께 1일 서울롯데호텔에서 ‘제5차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을 공동 주최하고, 글로벌 저성장을 함께 극복해 나가기 위한 경제협력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한일중 정상회담과 연계하여 개최된 이번 서밋에서 허창수 전경련 회장은 “그간 3국은 제조업 중심의 분업구조를 통해 서로의 성장을 견인해 왔지만 글로벌 저성장이라는 새로운 환경을 맞이한 상황에서 3국의 협력방식도 새롭게 바뀌어야 한다”며 3국 협력방식의 업그레이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한중일이 과잉생산을 통해 출혈경쟁을 벌이는 제조업 분야에서 새로운 협업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실제 철강의 경우 한중일이 2000년대 후반부터 생산설비 확대로 전세계 철강의 60%를 생산하고 있으며 과잉생산설비도 3억톤을 초과한 상황이다. 이에 경기하락기를 맞아 과당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날 패널로 나선 이일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은 3국이 협력을 통해 공급과잉산업의 구조조정을 이룬다면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3국간의 첨단산업분야의 협력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3국은 모두 바이오, 사물정보통신(IoT) 등 비슷한 분야를 육성하고자 하나, 이 분야에서의 3국간 협력은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도요타의 우치야마다 회장은 생명과학, 정보통신 등 분야에서 3국간의 협력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기술혁신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올해 말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출범으로 본격화되는 아시아 인프라 개발은 한중일 3국 모두에게 기회가 될 뿐만 아니라, 아시아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됐다.

사카키바라 경단련 회장은 아시아 지역의 인프라 개발은 지역내 연계성을 강화하고 직접 투자 및 산업 집적을 촉진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3국의 민관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패널로 나선 산업연구원의 김도훈 원장은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정책과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 그리고 일본의 풍부한 아시아 인프라 개발 경험과 노하우를 합치면 아시아가 인프라를 통해 하나의 공동체로 묶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날 행사를 공동 주최한 전경련, 경단련, CCPIT는 3국간 경제협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경제계간의 협력 및 교류 증진을 골자로 하는 MOU를 체결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 한국측에서는 허창수 회장을 비롯해 김인호 한국무역협회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 손경식 CJ그룹 회장, 박영주 이건산업 회장, 김윤 삼양홀딩스 회장, 류진 풍산회장 등 주요 기업인 150여명이 참석했다. 일본측에서도 사카키바라 회장, 이와사 히로미치 미쓰이부동산 회장, 우치야마다 타케시 도요타자동차 회장, 기무라 야스시 JX홀딩스 회장, 고가 노부유키 노무라증권 회장 등 대표기업이 130여명이 참석하였고, 중국측에서 장쩡웨이(姜增伟) CCPIT 회장, 장궈파 중국해운 총경리, 동자성 북경왕푸징백화점 총재, 우샤오휘 안방보험 회장, 쑨지옹 알리바바 부총재 등 120여명이 자리를 함께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