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 대우조선해양의 부실

입력 2015-10-21 10:5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홍샛별 금융시장부 기자

대우조선해양의 주채권은행이자 최대주주인 KDB산업은행이 하루가 멀다 하고 보도해명 자료를 내놓기 바쁘다. 매일 쏟아지는 대우조선 부실 규모와 지원액에 대한 언론의 추측성 보도를 진화하느라 진땀이다. 그럼에도 매번 산은의 대답은 한결같다. “대우조선 실사 결과가 곧 나옵니다.”

이 같은 상황은 이미 지난달 진행된 국정감사 때부터 예견됐다. 당시 정무위원회 소속 의원들은 대우조선에 대한 부실과 지원규모, 책임 소재를 집중적으로 추궁했다. 하지만 임종룡 금융위원장과 진웅섭 금융감독원장, 홍기택 산은 회장의 대답 역시 녹음된 응답기처럼 일관되고 반복적이었다. 산은의 대우조선 실사 결과가 발표돼야 이를 종합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산은의 대우조선 실사 결과 발표가 당초 예상보다 늦어지고 있다. 지난 7월에 시작된 대우조선 실사는 8월 중순께 결과 발표가 나올 것으로 예상됐지만, 벌써 10월 막바지에 접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실사 결과 발표가 지연되면서 이와 관련된 추측은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중이다. 이번 3분기 대우조선이 1조원을 웃도는 추가 부실을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정부가 대우조선에 약 4조원을 지원한다는 얘기가 끊임없이 새어 나오고 있다.

의원들과 언론의 지대한 관심은 단순히 대우조선의 부실 규모가 크다는 점에서 기인한 것이 아니다. 4조원에 가까운 부실과 그에 상응하는 국민혈세가 투입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에 대해 책임지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는 데 방점이 찍힌다. 더군다나 만약 이 같은 부실이 의도적으로 은폐된 것이라면 문제는 더 심각해진다.

산은에 따르면 대우조선 실사 결과는 이르면 금주, 늦어도 이달 중 발표된다. 언제까지 의미 없는 질문과 대답을 반복할 수 없다. 이젠 매듭을 져야 한다.

실사 결과 발표와 함께 책임질 부분이 있다면 누군가가 대규모 부실과 막대한 혈세 투입에 책임을 지는 게 마땅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