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삼성전자, 차세대 보급형 제조로봇 개발 지원…3년간 167억 투자

산업통상자원부가 삼성전자와 손잡고 소형ㆍ정밀 제조공정에서 활용될 수 있는 로봇 핵심부품과 로봇시스템의 저가화ㆍ국산화 기술개발에 나선다. 산업부는 이를 위해 올해말부터 3년간 총 167억5000만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삼성전자와 협력해 국내 로봇ㆍ부품 중소기업의 차세대 보급형 제조로봇 개발을 추진한다고 19일 밝혔다.

우선 세계적으로 미개척 분야인 소형‧정밀조립공정 분야의 제조로봇 상용화를 목표로 감속기, 모터, 제어기, 엔코더 등 핵심 로봇부품의 저가화 기술개발에 중점을 두고 추진된다. 이를 위해 공정 요구사양을 중심으로 성능을 최적화해 중소기업도 도입 가능한 수준의 가격과 성능의 보급형 로봇을 개발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 사업에는 모터, 감속기 생산업체 등을 포함해 10개 내외의 중소 로봇기업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제조용 로봇은 자동차,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을 중심으로 다양한 산업의 용접, 핸들링, 이적재, 조립공정 등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 금속, 플라스틱‧화학, 식음료 등으로 적용분야가 확대되는 추세다.

하지만 휴대폰ㆍ가전제품 등의 생산을 위한 소형ㆍ정밀조립공정 분야는 세계적으로 제조로봇의 활용이 미미하고, 대부분이 중국과 동남아 등에서 수작업으로 생산되고 있다. 특히 감속기, 모터 등 로봇을 구성하는 주요 부품은 로봇제품 가격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국산 로봇부품은 품질과 신뢰성 측면에서 경쟁력이 취약해 고가의 해외부품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삼성전자는 이번 개발사업에서 로봇 사양제시, 제품검증 등을 통해 중소 로봇ㆍ부품기업의 기술 컨설팅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개발제품의 상용화 방향을 잡고 기술개발 결과물에 대한 검증과정을 거쳐 국내외 제조현장에 도입할 수 있도록 돕기로 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과제는 전자 대기업과 로봇부품을 생산하는 중소기업 간의 협력사례로서 의의가 있다”면서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일차적으로 국내외 수요와 연계해 국내 중소 로봇ㆍ부품기업의 안정적인 수요 확보와 대량생산을 통한 단가 절감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