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위기 대응력 신통치 않다

입력 2015-10-12 09:2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인터넷·모바일 회사 카카오가 대형 위기 때마다 부적절한 대응력을 보여 도마 위에 올랐다.

카카오는 지난 7일, 김범수 카카오 의장의 2007년 5만달러가량의 미국 도박설에 관한 검찰 내사에 관한 언론 보도에 대해 법적으로 대응할 방침을 밝혔다. 카카오는 기사가 발표된 같은 날 보도자료를 통해 “오늘 일부 매체에서 보도된 회사 의장 관련 의혹 보도에 대한 카카오의 입장을 전해드린다. 카카오는 확인되지 않은 의혹을 실명과 함께 보도한 건에 대해 가능한 모든 법적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해당 의혹에 대한 해명이나 최소한의 사실관계에 대한 설명은 없었다. 국민 10명중 7명꼴로 매일 사용하는 메신저를 운영하는 기업이 한 대처라고 보기 힘들다는 비판이 나왔다.

카카오의 위기 대응 능력의 취약함은 지난해 발생한 ‘카톡감청’ 파동 때도 고스란히 드러났다. 작년 10월 감청·사찰 논란으로 이용자들이 잇따라 카카오톡을 떠나자, 이석우 전 다음카카오(현 카카오) 공동대표는 감청영장 불응이라는 초강수로 사태 진화에 나섰다.

그는 지난해 10월 13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달 7일부터 감청영장 집행에 응하지 않고 있으며, 향후에도 응하지 않겠다”며 “감청요구에 불응한 것이 법적으로 문제가 되면 그 책임은 대표이사인 내가 달게 받겠다”고 말했다. 물론 이 전 대표는 13일 기자회견 며칠 뒤에 “영장 불응이 법질서를 지키지 않겠다는 뜻은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이 전 대표의 지나친 감정적 대응이 오히려 조직에 상처를 입혔다는 해석이 나온다. 그가 실정법 위반으로 처벌받더라도 향후 감청영장 집행에 응하지 않겠다고 강수를 두자 김진태 총장이 법사위 국감에서 “필요하면 문을 따고 들어가겠다”고 대응하면서 두 조직의 신경전은 고조됐다.

카카오는 이후에도 ‘법치주의 역행’이라고 비판하는 검찰과 기(氣) 싸움을 벌였으며 각종 비정기, 대규모 세무조사에 시달렸다. 적법한 조사이기는 하나 영장 불응 방침에 대한 정부의 ‘보복’ 수사라는 시각도 꽤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달 다음과 카카오 합병 1주년을 맞은 가운데 임지훈 대표 체제가 앞으로 위기를 어떻게 잘 해결해 나갈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