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엘러간 보톡스주, 방광기능장애 보험 급여 적용

입력 2015-10-05 11:5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국엘러간은 방광기능장애에 대한 보톡스주 치료의 보험급여가 지난 1일부터 적용된다고 밝혔다.

이번 급여 신설로 과민성방광 치료에 우선적으로 시행되는 행동치료를 포함한 적절한 보존요법과 항콜린제 치료에 실패한 신경인성 배뇨근 과활동성, 과민성 방광환자들이 보톡스주 치료에 대한 급여를 지원받을 수 있게 됐다. 이로써 기존에 1차 치료로 만족할 만한 효과가 없었던 환자들이 신경조정술이나 수술치료법 등 침습적 시술로 넘어가기 전 보톡스주를 통한 치료를 고려해볼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방광기능장애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경구 약물치료의 경우 약제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입이 마르거나 변비, 시야 흐림, 졸림, 인지 장애, 소화기 장애 등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심한 부정맥이 있거나 협각성 녹내장, 소화기의 폐색성 질환, 중증 근무력증 등을 가진 경우, 약물 치료가 어려울 수 있다.

보톡스주는 배뇨 시 방광 수축 신호를 전달 받는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 분비를 감소시켜 방광근육 수축력을 감소시키고 빈뇨 증상을 완화하는 약물로 이번 방광기능장애에 대한 급여 신설은 최초로 보톡스주에만 적용됐다. 보톡스주는 여러 연구를 통해 요실금 증상을 완화시키고 과민성방광 치료에 긍정적인 반응이 있음을 입증했을 뿐 아니라 환자의 삶의 질을 유의하게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민성방광은 국내 환자 수가 600만명으로 추정되며 유병률은 12% 이상에 달할 정도로 흔한 질환이지만 질환의 특성 상 적극적인 치료를 하는 환자가 매우 적은 실정이다. 특히 폐경기 이후의 여성에서는 과민성방광으로 인해 우울증이 발생할 수 있고 야간빈뇨는 수면 부족을 초래하는 등 다른 질환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조기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김은영 한국엘러간 대표이사는 “과민성방광은 환자의 일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질환으로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며 “이번 급여 적용으로 기존의 약물 요법으로 충분한 치료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치료 옵션이 확대돼 환자와 의료진이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하고 환자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