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니어산업 경쟁력, 경험·접근성·표준화가 관건

입력 2015-10-01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만 65세 이상의 시니어를 대상으로 하는 산업의 성공 여부는 경험과 접근성, 표준화에 달렸다는 분석이 나와 주목된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일 노인의 날을 맞아 시니어 산업 중 단기간 성장할 수 있고 수출이 가능한 시니어제품 분야에 경쟁력을 가진 일본의 성공 요인을 살펴보고, 국내 현황을 점검한 결과 이 같이 밝혔다.

세계 1위 초고령국가 일본, 산아제한으로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 중인 중국 등 현재 한·중·일 시니어 인구는 1억7000만명, 2030년에 2억9000만명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노인인구 증가 추이를 봤을 때, 시니어 제품이 미래 주력 수출산업으로 발전할 잠재력을 갖춘 것이다. 내수측면에서도 경제력 있는 베이비부머 부상과 시니어 제품에 IT가 결합하고 있는 추세 역시 우리나라에 큰 기회 요인이다.

그러나 아직 국내 시니어 제품 분야는 초기 단계이다. 시니어 제품 종류 및 관련 정보가 별로 없고 살 수 있는 유통망도 미흡하다. 반면 시니어산업이 발전한 일본은 시니어 체험관을 통한 사용경험 확대, 다양한 유통망을 통한 구매편리성, 표준화된 시니어 제품의 구비가 성공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일본은 1990년 초반부터 전국 81개 시니어제품 상설전시·체험관 운영을 통해 “보고, 체험해야 아는” 시니어제품 활성화의 결정적 계기를 마련했다. 반면 우리나라는 전국에 3개(성남, 대구, 광주) 시니어 체험관이 운영되고 있을 뿐이다. 또 우리나라는 의료기기점을 방문해야만 소수의 시니어용품을 볼 수 있지만, 일본에서는 동네 편의점, 쇼핑몰, 백화점 등 어디서든 다양한 상품을 손쉽게 구매할 수 있다.

일본 개호식품협의회는 ‘유니버셜디자인푸드’ 제도를 도입해 기업별로 다른 시니어 식품 규격을 하나로 표준화하고, 매뉴얼을 통해 엄격히 관리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 시니어식품은 일본과 같은 표준화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시니어 인증마크도 없어서 어떤 식품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지 판단하기도 어렵다.

전경련 유환익 산업본부장은 “시니어 제품산업 성공은 써보니 편리하다는 경험 확산이 주요 관건”이라며 “기업은 일본처럼 구매가 편리한 유통채널에 진출하고, 정부는 한국판 유니버셜 디자인 푸드 제도를 도입해 제품 표준화를 시행하거나, 전국에 체험 가능한 상설전시장 설치 확대를 검토하는 등 국민에게 시니어 제품을 알릴 다양한 수단을 고민할 필요성이 있다”고 제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