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리인상 시점 최경환 부총리에게 힌트 얻으세요"

입력 2015-09-21 17:3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지난14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의 기재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이 위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금리동결 결정을 맞혀 화제다.

최 부총리는 이달 FOMC 정례회의 결과 발표(18일)를 나흘 앞둔 지난 14일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미국의 금리 인상 시기에 대한 질문을 받고 “전문가들과 시중에서는 9월에서 뒤로 가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늘어나고 연말 가까이 돼야 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했다.

이달 FOMC 금리인상 여부를 두고 전망이 확실한 방향을 잡지 못하고 있던 시점이었다. 심지어 한 통신사에서는 같은 날 <‘금리인상’ 촉각…증권가 “9월에 한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도하기도 했다.

또 부총리 입장에선 예측이 틀렸을 경우에 따르는 부담도 상당하다. 미국 통화정책 동향을 최 부총리보다 더욱 밀착 모니터링하고, 최 부총리와 시각이 크게 다르지 않았을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공식 석상에서 재닛 옐런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한 발언 그대로 “연내에 인상할 것”이라는 정도로만 밝힌 것은 이러한 리스크를 고려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 부총리는 FOMC를 앞두고 고조되는 금융시장 불안을 다잡기 위해 사실상 ‘9월엔 미국 금리인상은 없다’라는 메시지를 던졌다. 기재부 관계자는 “최 부총리가 비록 전문가의 발언을 인용하는 형식으로 9월 미 금리가 인상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지만 관료들은 상당한 확신이 있지 않고서야 그 정도 수위로 말하지 않는다”며 “평소 국제금융 상황을 꾸준히 분석해 온 것으로 풀이된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미국 정책금리 인상 시점이 10월이 될지, 12월이 될지 불확실한 상황에서 옐런 의장뿐 아니라 최 부총리의 발언에서도 힌트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은 환영할 만한 일이다.

지난해 9월 ‘척하면 척’ 발언 후 한달 뒤인 10월의 금리인하 등 작년부터 현재까지 이뤄진 4차례의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하향조정도 이 총재보다는 최 부총리의 입만 제대로 주시했다면 모두 맞힐 수 있었다는 평이 금융시장에서 공공연하게 회자되고 있는 것은 이런 기대를 더욱 키우는 대목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