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후퇴 中企 30%, 1년내 수출 감소ㆍ중단 경험"

입력 2015-09-15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중기중앙회 실태조사… 중국, 아세안 등 신흥국서 중단비율 높아

수출 후퇴 중소기업들 가운데 1년 이내 수출이 감소되거나, 중단된 기업이 10곳 중 3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중소기업중앙회가 발표한 '신규 수출 중소기업 수출성장·중단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최초 수출시장에 진입한 중소기업 중 지속적으로 수출이 증가하고 있는 성장기업 비중은 62.3%로 나타났고, 수출이 감소하거나 중단된 후퇴기업의 비중은 34.7%였다.

성장기업은 수출증가가 ‘매출액 및 수익성 확대’(72.3%), ‘신시장·거래처 다변화 통한 경영안정’(41.7%) 등에 가장 큰 도움이 됐다고 응답했으며, 수출증가에 가장 도움이 된 지원정책으로는 ‘마케팅·판로’(42.8%)와 ‘기술·인증’(21.9%) 등을 꼽았다.

반면, 후퇴기업들은 최초 수출시장진입 이후 1년 이내에 수출이 감소되거나 중단된 기업들이 35.6%로 가장 많았다. 수출 후퇴의 원인은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한 수요감소’(51.9%), ‘중국 등 신흥국의 저가공세로 인한 가격경쟁력 상실’(35.6%) 등이었다. 수출 국가별로는 중국(39.5%), ASEAN(36.4%) 등 신흥시장에서 최초 수출 이후 1년 이내에 수출이 감소 또는 중단된 비율이 높게 조사된 반면, 일본(54.5%)과 북미(38.9%) 등 선진시장은 5년 이후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경만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수출시장에 진입한 초보기업들이 초기 데스밸리를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정책의 양과 질, 두 마리 토끼를 잡는 것이 중요하다”며 “특히 중소기업들은 중국, 아세안 등 신흥시장에 대한 수출생존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정책과 지속적인 생존력 강화를 위한 판로개척 지원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