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립준비위원회 11일 오후 예보서 공청회…초기 자본금 ‘3兆’
구조조정 전문회사가 3조원의 실탄을 갖고 오는 11월 본격 가동된다. 채권단 주도의 기업구조조정이 한계에 봉착했다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시장 중심의 기업 구조조정 시스템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업구조조정 전문회사 설립준비위원회는 11일 오후 서울 다동 예금보험공사 본사 강당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사업계획 공청회를 열 계획이다.
구조조정 전문회사는 채권단 자율협약이나 워크아웃 이전에 선제적 구조조정에 나서는 역할을 하게 된다. 기업의 경영을 정상화해 기업 가치를 제고하고 매각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다.
기업구조조정은 정부 주도로 진행하면 관치 논란에서 벗어나기 어렵고, 채권단 주도로 하면 채권회수 극대화에 초점이 맞춰져 기업에 불리하게 진행될 가능성이 커진다. 정부는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그동안 전문회사 설립을 구상해 왔다.
우선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신한은행, 국민은행, 자산관리공사(캠코) 등 9개 기관이 출자금 1조원과 대출금 2조원 등 총 3조원의 자금을 투입한다.
구조조정 전문회사는 기업별 또는 업종별 구조조정 사모펀드(PEF)를 만들고 여기에 구조조정 채권을 매각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구조조정 프로젝트 단위로 다양한 PEF가 생길 수 있는 셈이다.
준비위는 PEF를 구조조정펀드와 유동성 지원펀드, 자구계획 지원펀드로 나누고 있다. 구조조정펀드는 구조조정 진행 기업의 금융기관 채무를 매입해 구조조정을 돕는 역할을, 유동성 지원펀드는 긴급 유동성이 필요한 부실 징후 기업의 전환사채나 신주인수권부 사채를 매입하는 역할을 한다.
자구계획 지원펀드는 기업이 구조조정을 위해 매각하는 비영업용자산(부동산 등)을 인수하는 역할을 한다. 기업구조조정 전문사는 초기에는 개별기업에 대한 구조조정 노하우를 축적해 중장기적으로 업종별 구조조정 업무로 영역을 확대할 예정이다.
준비위는 연기금이나 공제회의 여유 자금도 기업구조조정 전문사로 유입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