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의 역설 “비만도 높을수록 중증 뇌경색 발생률 감소”

입력 2015-08-11 11:3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서울대병원 이승훈 교수, 비만-뇌경색 발생원인 연구

최근 ‘비만의 역설(obesity paradox)’이라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많은 연구가 발표되면서, 일반적인 상식과 달리 비만 환자가 정상 체중의 환자보다 오래 산다는 다양한 연구들이 제기되고 있다.

이 같은 흐름에 발맞춰 국내 연구진이 뇌경색 환자 중 비만 환자는 정상 체중의 환자에 비해 중증 뇌경색 발생률이 낮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해 화제를 낳고 있다.

최근 이승훈 교수(서울대병원 신경과), 김예림 전임의(부천성모병원 신경과) 연구팀은 이 같은 결과를 세계적 권위의 영국의학저널 그룹이 출판하는 국제 학술지 ‘신경학, 신경외과학, 정신의학 저널(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 Psychiatry)’ 최신호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2002년 10월부터 2013년 5월까지 서울대병원에 입원한 급성 뇌경색 환자 2670명을 비만도(BMI)에 따라 5개 그룹으로 나눈 후, 입원 시 초기 뇌경색 강도(NIHSS 점수)를 분석했다.

뇌경색 강도는 환자의 의식, 신경학적 기능, 운동, 후유증 등을 평가하는 척도로, 연구진은 0~7점은 경증, 8점 이상은 중증 뇌경색으로 판단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비만도가 21.2kg/m2 이하 그룹의 중증 뇌경색 발생률이 100%라고 했을 때, 21.2~23.0kg/m2 그룹은 65%, 23.1~24.5kg/m2 그룹은 48%, 24.6~26.2kg/m2 그룹은 39%, 26.3kg/m2 이상 그룹은 31%로 나타났다.

비만도가 높을수록 중증 뇌경색 발생률은 낮았다는 결과다. 이는 환자의 예후에도 영향을 미쳐, 비만도가 높은 환자일수록, 치료 3개월째 예후가 좋았다. 단순히 비만도가 높아서 라기보다는 비만도가 높을수록 중증 뇌경색 발생률이 낮아졌다는 연구진의 설명이다.

이 연구는 비만이 직접적으로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중증도에 영향을 미쳐 생존율이 결정됨을 주장하는 첫 연구 결과다.

이승훈 교수는 “대혈관의 동맥경화나 심장질환에 의한 색전일 경우 뇌경색이 심하게 오는 경우가 많으나 비만 환자들은 경미하게 발생하는 소혈관 폐색에 의한 뇌경색이 많다”며 “지방세포와 염증성 사이토카인과의 관련성이 있을 가능성과 비만한 환자가 더 적극적으로 뇌혈관 위험인자를 조절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