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 87% “통일되면 대북사업 추진”

입력 2015-08-10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상의, 500개사 조사… 희망사업 분야는 ‘북한 지하자원 개발’

국내기업 10곳 중 8곳은 통일후 대북사업을 추진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기업 500곳을 대상으로 대북사업 추진의향을 묻는 질문에 ‘적극 추진하겠다’는 응답이 30.8%였다. 또 ‘여건이 허용하는 한 추진할 것’이라는 답변은 56.4%로 전체 응답기업의 87.2%가 통일이 되면 북한사업에 나설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이 되더라도 대북사업을 안하겠다’는 응답은 12.8%에 그쳤다.

희망 사업분야로는 북한 지하자원 개발(28.4%)을 꼽은 기업이 가장 많았다. 이어 SOC건설(22.1%), 생산기지 조성(22.1%), 대륙연계 물류망 구축(18.7%), 북한 내수시장 개척(8.7%) 순이었다.

추진형태에 대해서는 직접 시설투자(37.1%), 위탁가공 의뢰(28.4%), 단순교역(25.2%), 합작 투자(6.9%) 등이었다.

대북사업을 펼칠 뜻을 갖고 있는 기업이 꼽은 투자 관심지역으로는 개성·해주 등 경기도 접경지역(42.3%)이 가장 많았다. 이어 평양·남포 등 북한 수도권지역(28.0%), 신의주·황금평 등 중국 접경지역(11.5%), 원산·금강산 등 강원도 인근지역(9.2%)이 뒤를 이었다.

통일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다수 기업들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기업 중 65.1%는 통일에 대해 ‘공감하는 편’으로 나타났으며 28.2%는 ‘적극 공감’이라고 답했다. ‘공감하지 않는다’는 답변은 6.7%에 그쳤다.

통일이 필요한 이유로는 경제발전(61.2%)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안보위험 해소(16.5%), 민족 재결합(9.5%)과 이념갈등 완화(8.2%)가 그 뒤를 이었다.

김병연 서울대 교수(대한상의 자문위원)는 “남북관계가 꽉 막힌 상황에서 정부당국보다 민간차원에서 대화와 협력의 실마리를 찾는 것도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