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탄소배출 규제 강화…석탄업계 ‘바들바들’

입력 2015-08-04 09:2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 감축 목표 30%→32%, 6년간 석탄업계주가 90% 폭락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사진출처=AP/뉴시스
버락 오바마<사진> 미국 대통령이 탄소배출 감축량을 늘리는 등 석탄 화력규제를 강화한 가운데 석탄산업계가 불안감에 떨고 있다.

백악관은 오는 2030년까지 미국 내 발전소의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2005년 배출량 대비)를 당초 30%에서 32%로 상향조정하는 내용 등을 담은 ‘청정전력계획(Clean Power Plan)’을 3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미 정부는 탄소 배출 감축량을 늘리는 대신, 재생 가능 에너지 발전 비중 목표를 22%에서 28%로 올렸다.

이번 지침에 따라 각 주(州) 정부는 발전소 탄소배출량 감축 목표가 담긴 실행계획을 마련해 2016년 9월까지 미 환경보호청(EPA)에 제출해야 한다. 다만, 구체적인 계획 마련에 시간이 좀 더 필요한 주는 이때까지 초안을 제출하고 최종안은 2년 후인 2018년 9월까지 제출하면 된다.

백악관은 “이번 계획에 따른 추가 비용은 총 84억 달러(약 9조8000억원)로 예상되지만, 탄소배출량 감소가 경제와 국민 건강에 미치는 혜택은 그 비용의 최대 7배에 이른다”고 강조했다.

오바마 정부의 고강도 탄소 배출 제재 정책에 석탄업계에선 경영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미국 2위의 석탄회사 알파내추럴리소시즈는 “작년에만 8억7500만 달러(약 1조216억원)의 적자가 났다”면서 결국 파산 보호를 신청했다. 오바마 정부가 들어선 2009년 이후 지금까지 석탄업계 주가는 90% 폭락했고, 다수의 기업이 문을 닫았다고 CNN머니는 설명했다.

탄소 규제가 발표된 이날도 피바디에너지, 클라우드피크에너지, 웨스트모어랜드 등 주요 석탄업체들의 주가가 8% 이상씩 폭락했다.

6년 전까지만 해도 연료탄이 고갈될 것이란 우려와 당시 경제성장 가도를 달렸던 중국의 수요가 늘면서 석탄 가격은 톤(t)당 340달러까지 치솟았다. 그러나 현재 석탄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고 중국경제까지 침체기를 겪자 석탄의 가치가 갈수록 떨어졌다. 거래가격도 t당 100달러를 밑돌았다.

법률회사 듀안모리스의 셰일라 홀리스는 “강인한 기업만이 (규제강화 환경 속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