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물가라는데 장 보면 왜 비싸게 느껴지지...이유는?

입력 2015-07-30 12:27수정 2015-07-30 14:4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일반인 물가인식, 실제 상승률보다 1.7%포인트 높아

최근 발표되는 물가지표를 보면 디플레이션 논란이 제기될 만큼 저물가라는 분석이 나온다. 하지만 주부들이 장을 볼 때나 소비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상품·서비스를 구매할 때 느끼는 체감 물가는 너무 높아 저물가라는 말이 실감나지 않는다. 이처럼 지표와 체감물가의 괴리가 큰 이유는 뭘까.

한국은행은 30일 발표한 인플레이션 보고서에서 체감물가와 공식물가 상승률이 괴리를 보이는 것은 소비자가 가격상승에 민감한 반면 하락엔 둔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한은 소비자동향조사에 나타난 일반인의 물가인식 수준은 지난달 2.5%로 소비자물가상승률(0.7%)의 4배를 넘었다. 한은이 2013년 이후 두 지표를 분석한 결과 물가인식 수준이 실제 소비자물가 상승률보다 평균 1.7%포인트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소비자가 자주 구입하는 물품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점에 착안해 통계청이 자주 구입하는 품목 등으로 산출하는 생활물가지수를 분석했다.

하지만 생활물가지수가 소비자물가지수보다 낮은 상승률을 보였고 신선식품지수도 소비자물가보다 상승률이 높지 않았다.

대신 독일 통계청처럼 품목별로 가격 상승과 하락에 따라 가중치를 다르게 적용해 체감물가지수(IPI)를 산출해보니 체감물가의 상승률이 일반인 물가인식 수준에 근접했다.

한은은 이를 근거로 소비자들이 가격인식에 비대칭적 성향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체감물가와 실제 물가상승률이 괴리를 보인다고 밝혔다.

또 이런 심리행태적 요인 외에 소비패턴의 차이도 체감물가 괴리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개별 가구의 소비품목이나 품목별 지출비중 등 소비패턴이 전체 가구 평균과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는 얘기다.

예를 들어 올해 담뱃값 인상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0.6%포인트 높이는 효과를 냈지만 가구별로는 흡연 여부나 흡연량에 따라 체감도가 다를 수 있다.

소비패턴에 따른 물가상승률의 차이는 지역별 소비자물가 상승률 차이를 통해서도 볼 수 있다. 가령 통계청이 16개 시도별로 작성하는 지역별 소비자물가 지수를 보면, 2013년 이후 대체로 서울지역의 상승률이 가장 높고 강원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상승률을 나타내고 있다고 한은은 분석했다.

2013년 이후 농산물 및 석유류 가격의 약세로 인해 동 품목의 소비지출 비중이 높은 강원도의 물가상승률은 낮게 나타났다. 이와 달리 서울의 경우 농산물 및 석유류 소비지출 비중은 상대적으로 작은 대신 비교적 높은 상승세를 보이는 집세에 대한 지출 비중이 다른 지역에 비해 월등히 높아 서울지역의 물가상승률이 여타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고 한은은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