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주택시장 양극화 심화

입력 2015-07-27 10:0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대도시, 금융완화 효과에 집값 회복 조짐…중소도시는 과잉투자 부담 지속

▲중국 70개 도시 신규주택 가격 추이(전월비). 위에서부터 상승(6월 27곳) / 횡보(9곳) / 하락(34곳). 출처 일본 니혼게이자이.

중국 주택시장의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다. 베이징과 상하이 등 대도시는 잇따른 기준금리 인하와 규제 완화 등의 효과에 힘 입어 집값이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지방 중소도시 대부분은 과거 과잉투자에 따른 부담이 지속되고 있다고 27일(현지시간)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중국 현지언론에 따르면 최근 베이징시 동쪽 외곽에 있는 퉁저우 구 주택당국은 부동산개발업체 관계자들을 불러 “집값이 대폭적으로 올라가지 않도록 주의하라”고 지시했다. 여전히 주택시장 회복세가 부진한 가운데 베이징 지방정부가 가격 상승을 경계에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베이징시 공산당위원회가 이달 행정 부도심을 퉁저우에 세우기로 방침을 확정짓자 이 지역 주택시장이 과열 조짐을 보이고 있다. 한 조사에 따르면 이달 초 베이징 전체 주택 매매의 30%를 퉁저우 구가 차지했다. 또 퉁저우 구 중심지의 아파트 가격은 전월 대비 5% 이상 올랐다.

중국 국가통계국의 집계에서 70개 도시 중 베이징과 상하이 광둥성의 선전 등 27개 도시가 지난달 신규주택 가격이 전월보다 상승했다. 이는 5월에 비해 가격이 오른 도시가 7곳 늘어난 것이다. 특히 선전 상승폭은 7.2%로 전국에서 가장 높아 동부 해안 대도시의 주택시장이 회복세로 들어갔다는 점을 시사했다.

지난해 11월부터 지난달까지 4차례에 걸친 금리 인하 등 금융완화 효과는 물론 모기지 이용 시 계약금 비율 완화 등 주택시장 부양책이 대도시에 순풍으로 작용하고 있다. 베이징과 선전 등 인구 유입이 크고 주택수요가 왕성한 대도시들이 회복을 이끌면서 지난 상반기 전국 주택 매매액은 전년 동기 대비 12.9% 증가해 1분기의 9.1% 감소에서 플러스로 돌아섰다고 신문은 전했다.

그러나 회복은 일부 대도시에만 국한돼 있으며 전체 시장이 활기를 찾은 것은 아니라고 전문가들은 강조했다. 지난달 70개 주요 도시를 살펴봐도 절반에 육박한 34개 도시 신규주택 가격이 전월 대비 하락했다. 1년 전 가격과 비교하면 상하이와 선전을 제외한 68개 도시가 하락세를 나타냈다.

중국 동북 지방 랴오닝성의 선양, 시정부 일부가 이전한다는 소문이 돌았던 훈난신 구는 몇 년 전 부동산개발업자들이 몰려들었지만 이전 계획이 실현되지 않아 현재 1년 이상 건설이 중단된 현장이 한 두 곳이 아니다.

최근 중국 증시의 급등락에 향후 투자자금이 주택시장으로 돌아올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지방 중소도시 대부분은 지금까지 쌓인 미분양 재고주택의 소화가 당면 과제라고 신문은 지적했다. 이에 지난 상반기 신규 주택개발 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2.8% 증가에 그쳤다. 이는 1분기의 5.9%에서 성장이 둔화한 것이다.

전문가들은 주택투자가 움직이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경기를 부양하는 힘은 여전히 약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