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운영… 복지사각지대 해소

입력 2015-07-22 12:5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서울시는 이달부터 13개 자치구 80개 동을 시작으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를 운영하고, 주민의 신청을 받는 방식에서 벗어나 먼저 찾아가는 복지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22일 밝혔다.

찾아가는 복지 서비스 대상에는 기존 복지대상자였던 빈곤·위기가정 외에도 65세 이상 노인과 출산 가정이 새로 포함된다.

출산가정에는 복지플래너와 방문간호사가 직접 찾아가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을 평가하고 육아 교육과 산후 심리검사 등을 해준다.

65세가 돼 노령층에 진입하는 노인에게는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이 방문간호사와 함께 정기적으로 찾아가 혈압과 치매 여부 등 건강상태를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노후복지를 안내해준다.

산후 우울도가 높은 산부나 치매·우울 위험이 있는 노인은 정신건강증진센터에 치료와 상담을 의뢰하는 등 사후 상담과 치료서비스도 연계한다.

복지플래너는 기초생활수급자 등 기존 복지대상자 외에도 취약 계층과 위기가정을 새로 발굴하고 이들의 욕구를 파악해 상황에 맞는 통합서비스를 제공한다.

동주민센터의 모든 직원은 ‘우리동네 주무관’이 돼 자신이 맡은 구역의 복지사각지대를 발굴하고 관련 민원을 처리한다.

기초연금이나 장애인 수당, 기초생활 수급 등 제도별로 나뉘었던 복지 서비스 상담도 이제는 ‘복지상담 전문관’으로부터 한 번에 받을 수 있다.

시는 주민센터의 기능 변화에 따라 사회복지담당 공무원 500명과 방문간호사 106명을 충원했다. 앞으로 3년 동안 2450명을 추가로 늘리고, 찾아가는 동주민센터를 2018년까지 25개 전 자치구 423개동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박원순 시장은 “동주민센터의 변화는 기다리는 선별적 복지가 아닌 천만시민 누구나 일상 속에서 복지서비스를 누리는 시발점이 될 것”이라며 “복지와 보건, 주민참여의 융합을 통해 주민중심의 밀착형 복지기능이 강화되고 주민관계망을 통해 복지사각지대가 해소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