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구조조정 대상 대기업 35곳 선정…철강ㆍ전자 등 업권 전반 확산

입력 2015-07-17 14:2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올해 대기업 35곳이 워크아웃 또는 법정관리 등 고강도 구조조정을 추진한다. 예년과 달리 조선, 건설, 해운 등 기존 취약업종에서 반도체와 철강설비업체 등 업권으로 확대됐다. 이미 내수침체 장기화, 엔저 등 경영여건 악화로 부실기업이 늘어난 데다, 모뉴엘과 경남기업 사태를 둘러싼 대출 특혜 시비도 악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1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대기업 신용위험평가를 진행한 결과 35곳의 대기업이 구조조정 대상에 선정됐다. 워크아웃 대상으로 분류되는 C등급 16개사, 법정관리 대상인 D등급은 19개사로 나타났다. C등급에 해당하는 대기업은 채권단과 워크아웃 약정을 맺고 경영 정상화를 추진한다. D등급은 채권단 지원을 받지 못해 자율적으로 정상화 추진이 가능하지만 대부분 법정관리를 신청하게 된다.

올해는 철강과 휴대폰, 디스플레이 등 부실업종이 다변화되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철강의 경우 중국산 제품과의 경쟁 격화, 재고누적 등에 따른 공급과잉 지속, 전자의 경우 휴대폰 및 디스플레이부문의 업황부진 등으로 구조조정대상 업체수가 전년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다.

또한 구조조정 대상 35개 대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액은 총 7조1000억원으로 추산됐다. 금감원은 구조조정에 따른 금융권의 충당금 구차 적립소요액이 약 1조원으로 예상했다.

앞서 금감원은 올해 대기업 신용위험 평가에서 예년과 달리 채권은행에 엄격한 기준과 선정 작업을 주문했다. 지속적인 대기업 구조조정 추진에도 경기부진 지속과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로 이자비용도 감당하지 못하는 한계기업들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금감원은 워크아웃대상 업체(C등급)의 경우 신속한 금융지원·자산매각·재무구조개선 등을 통해 경영정상화를 추진하고, 부실기업(D등급)에 대해서는 기업회생절차 등을 통해 신속한 정리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