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先회생 後문책' 가닥… 필요시 긴급 유동성 공급

입력 2015-07-16 19:2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금융당국과 채권단이 대규모 손실을 입어 위기에 놓인 대우조선해양을 우선 지원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아가고 있다. 유사시 긴급 유동성을 지원하는 방안까지 검토 중이며, 출자 전환 등의 재무구조 개선책을 모색하고 있다. 이와 함께 한두 곳의 회계법인을 선정해 내주 초 실사에 돌입한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산업은행 등 채권단은 대우조선해양 사태를 수습하기 위한 지원안을 검토 중이다. 채권단은 조선업에 미치는 영향을 감안해 이른바 '선회생 후문책' 안을 구상 중이다.

대규모 부실을 둘러싼 분식회계 의혹에 대해서는 나중에 따지고 먼저 위기 상황을 타개하는 재무구조 개선에 주력하겠다는 방침이다.

현재 시장에선 대우조선해양의 올 2분기 영업손실이 3조원 가까운 수준으로 갑자기 불어날 것이라는 얘기가 나오면서 회계부실을 둘러싼 의혹이 커지는 상황이다.

분식회계 가능성이 대두되자 전날 금융감독원은 대우조선 2조원대 손실 은폐 의혹과 관련해 실무 회의가 소집돼 향후 회계감리 착수 여부를 검토한 것으로 전해졌다.

시장에서 예측하는 손실을 제대로 반영할 경우 대우조선해양의 자본총액은 4조5천억원에서 2조원대로 줄면서 부채비율이 370%선에서 660%선으로 올라가게 된다.

하지만 금융당국은 '선회생 후문책'으로 가닥을 잡고, 최악의 경우 긴급 유동성 지원 가능성도 남아있다.

대우조선의 재무구조 개선 방안으로는 시장에 충격이 큰 자율협약이나 워크아웃보다는 산업은행 중심의 유상증자나 출자전환 등이 거론된다. 이와 병행해 채권단이 신규로 자금을 수혈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산업은행은 실사 결과 대우조선에 대규모 손실을 초래한 과정에서 전임 경영진의 위법 행위가 발견되면 손해배상과 민형사 고발 등 법적 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금융당국은 실적이 나온 이후 이상 징후가 감지되면 감리에 착수하기로 했다. 빠른 실태 파악을 위해 채권단은 내주부터 실사에 착수할 예정이다.

산업은행과 채권단은 이번 주 중 한두 곳의 회계법인을 선정, 20일부터 실사에 돌입하기로 했다. 채권단이 최대한 서둘러 실사 작업을 진행할 계획인 만큼 이르면 8월 말에는 결과가 나올 전망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