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 ‘아모잘탄’에 국내 최초 낱알식별 레이저 인쇄방식 적용

입력 2015-07-14 11:2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조제오류 및 오투약 방지 효과…9월4일 출시 예정인 발기부전치료제 ‘구구’ 등 적용 확대

(사진=한미약품)

고혈압 복합신약 ‘아모잘탄’<사진>에 국내 최초로 자외선(UV) 레이저 프린터를 이용한 낱알식별 인쇄방식이 적용됐다.

한미약품은 의약품 표면에 레이저를 쏴 낱알식별 문구를 새길 수 있는 자외선(UV) 레이저 프린터를 도입하고, 이를 아모잘탄에 우선 적용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번에 적용된 장비(LIS-250)는 산화티탄(TiO2·인체에 무해해 식품 또는 화장품 착색료 등으로 쓰임)에 있는 산소(O2)를 이탈시켜 회색으로 인쇄하는 방식으로, 인쇄 과정에서 열이 발생하지 않아 의약품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문구를 새길 수 있다.

국내 제약회사 중 최초로 도입한 이 장비는 기존 잉크인쇄 방식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번짐현상 등을 원천 차단하고, 잉크관리에 수반되는 비용 및 청소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정확한 낱알식별 문구를 인쇄함으로써 조제오류 및 오투약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자외선 레이저 인쇄로 ‘할랄(HALAL)’ 대응이 가능하다.

또 굴곡진 의약품 표면에도 인쇄가 가능해 가짜약 등 제조를 차단할 수 있고, 정교한 인쇄로 낱알 앞·뒷면에 자유롭게 디자인(국·한·영문) 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레이저 인쇄방식을 적용한 아모잘탄은 5/50mg·5/100mg·10/50mg 등 3가지 함량과 30T·300T 등 2가지 규격별로 7~9월 사이에 순차적으로 출하될 예정이다.

한미약품은 복합소염진통제 낙소졸과 오는 9월4일 출시 예정인 발기부전치료제 ‘구구(타다라필)정’ 등에도 이 인쇄방식을 적용할 계획이다.

우종수 한미약품 부사장은 “레이저 인쇄는 일본 등 의약품 선진국에서 많이 적용되고 있다”며 “아모잘탄을 시작으로 적용 범위를 넓혀 고품질의약품 브랜드를 강조하고, 조제오류나 오투약 방지 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