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연구원 “메르스·수출부진 영향…올 성장률 3.0→2.6%”

입력 2015-07-07 17:1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과 수출부진 탓에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2.6%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LG경제연구원은 7일 발표한 '2015 하반기 경제전망' 보고서를 통해 3개월 전에 3.0%로 예상했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6%로 0.4%포인트 낮췄다. 이는 지난해 경제성장률 3.3%보다 0.7%포인트 낮은 수치다.

연구원은 저유가·저금리로 2분기 중 다소 개선되던 소비가 메르스 탓에 긍정적인 흐름이 꺾일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여가문화, 의료 등 서비스 생산 위축으로 2분기 국내 경제는 1분기에 대비해 제로성장 수준에 머물 것으로 예측했다.

메르스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국내총생산(GDP)의 0.3%에 달하나 추가경정예산으로 상당 부분 상쇄될 것으로 연구원은 예상했다. 저금리와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1분기 5%대의 성장세를 기록한 설비투자도 하반기에는 위축될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수출은 작년보다 4% 이상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으며, 소비자물가는 올해 평균 0.8% 상승, 경상수지 흑자는 1180억달러 수준으로 GDP의 8%를 넘어설 것으로 연구원은 예상했다. 원·달러 환율은 달러당 1120원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각각 예측됐다.

연구원은 세계경제가 하반기에도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경기 상승 국면 후반부에 들어선 미국의 세계 수요 견인력이 떨어진 데다 호전되던 유로존도 그리스 사태로 상승동력이 낮아질 것으로 봤다. 특히 그리스 사태가 상당기간 지속되면서 금융시장 불안정성을 확대시킬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은 3.2%를 기록해 지난해(3.3%)보다 다소 낮아지고 3%대 초반 성장세가 내년 이후에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LG경제연구원 이근태 수석연구위원은 "세계경제의 성장동력이 제조업, 교역 중심에서 서비스업, 내수중심으로 바뀌는 구조적 변화가 이어지면서 우리 수출이 과거처럼 경제성장을 견인하기 어려워진 상황"이라면서 "제조업 부문의 높은 생산성 증가 효과가 많이 줄어든 데다 고령화에 따른 노동인구 감소 효과도 본격화하면서 우리 경제는 2% 성장기에 접어들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