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소리 못내는 기관투자자…주총前 '반대 공시' 고작 1.7%

입력 2015-07-03 07:0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내 주요 기관투자자들이 투자 기업의 주주총회 의안에 대한 '반대'에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총에 대한 반대의결권 자체를 비밀에 붙이거나, 주총 이전 반대의견 공시 비율이 1.7%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금융투자업계와 지배구조연구원 등에 따르면 지난 2∼3월에 열린 12월 결산기업(유가증권시장)의 정기주총에서 의결권을 행사한 기관투자자의 공시는 총 2538건이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주주총회 이전 반대 의결권 의사를 공시한 사례는 총 42건(1.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업종의 반대 의결권 공시는 총 9건으로 모두 주주총회를 앞두고 반대 의사가 공시됐다. 반면 은행권의 경우 반대 의결권을 밝힌 6건 모두가 주주총회 이후에 공시됐다. 자산운용사는 반대 의결권 행사가 포함된 공시 146건 중 약 20% 수준인 30건만 주총일 전에 공시했다. 펀드 서비스사는 30건 중 4건만 주총 이전에 공시했다. 대다수 기관투자자가 반대 의결권을 행사해도 이를 주총 이후에 공개하고 있다는 얘기다.

이같은 상황에 대해 국내 금융권 기관투자자의 의결권이 점진적으로 축소되고 있다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기업과 금융권 사이에서 기업이 쥐고 있는 보이지 않는 힘이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기관투자자가 자신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투자여건이 형성되기 어려운 현실도 한 몫을 하고 있다.

한국지배구조연구원 관계자는 "기관의 의결권 행사는 경영진 견제 기능이 있고 특히 반대 의결권은 해당 기업의 경영활동에 문제가 있음을 공론화시키는 역할을 한다"며 "개인보다 정보 접근이 쉽고 분석 능력이 있는 기관투자자가 반대 의결권 행사 사실을 뒤늦게 공개하는 데 대해 비판의 목소리도 나온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