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대 기업 38% 시가총액 저평가…삼성물산 PBR은 0.7배 수준

입력 2015-07-02 07:4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국내 100대 기업 가운데 38%는 시가총액이 순자산가치보다 저평가돼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엘리엇매니지먼트가 "주가가 저평가됐다"며 반기를 들었던 삼성물산은 오히려 현대차와 LG전자, 현대중공업, 삼성SDI 등 주요 기업보다 상대적으로 주가가 높게 평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국내 증시에 상장된 시총 100대 기업의 시가총액과 순자산가치를 비교한 결과 38%의 시가총액(6월 30일 종가 기준)이 순자산 가치에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가를 주당 순자산 가치로 나눈 주가순자산배율(PBR)이 1배 미만인 기업이 38%나 된다는 의미다. PBR은 1배를 기준으로 1배 이상일 경우 기업의 청산가치에 비해 주가가 고평가돼 있다는 의미다. 1배 이하일 경우에는 주가가 저평가돼 있다고 판단한다. 이번 조사는 이같은 저평가 기업이 38%에 이른다는 의미다.

우리은행의 경우 순자산 가치는 17조9000억원인데 시가총액은 6조6280억원에 불과했다. 순자산 가치 대비 시가총액이 37.0%로 시총 100대 기업 중 가장 낮았다.

이밖에 하나금융지주(40.0%), 롯데쇼핑(44.1%), 포스코(47.4%), 기업은행(49.5%)을 포함해 6개사의 시가총액이 순자산 가치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른바 PBR 0.5배 수준 기업이다.

KB금융(51.4%)과 현대차(51.6%), 현대중공업(55.6%), 현대제철(57.1%), 삼성SDI(66.0%), 대림산업(66.8%), 삼성카드(67.1%), 신한지주(67.3%), LG전자(67.4%) 등의 PBR도 상대적으로 낮았다.

최근 엘리엇은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을 겨냥해 "삼성물산 주가가 저평가 돼있다"고 주장했다. 반면 삼성물산의 PBR은 0.77배 수준으로 시가총액 상위 기업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적지 않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가총액이 순자산 가치보다 높은 기업은 시총 100대 기업 중 62개로 집계됐다.

바이오 의약품 제조사인 메디톡스의 시가총액은 순자산 가치의 3808.6%로 가장 높았다. 올 상반기 큰 폭의 상승세를 일궜던 제약사과 IT 업종의 주가가 높게 평가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115.6%)와 SK텔레콤(140.7%), LG화학(152.6%), 효성(174.8%), CJ제일제당(194.3%) 등 26곳은 시가총액이 순자산 가치보다는 높았지만 2배 미만에 그쳤다.

이들 100대 기업 전체의 시총은 1007조5500억 원으로 1분기 말 순자산 가치 915조3440억원을 10.1% 상회했다.

CEO스코어는 "미국계 헤지펀드 엘리엇 매니지먼트가 삼성물산-제일모직의 합병에 반대하면서 삼성물산의 상대적으로 낮은 주가 수준이 쟁점이 돼왔다"며 "삼성물산처럼 시가총액이 순자산 가치보다 낮은 곳이 시총 100대 기업 가운데 3분의 1이 넘는 숫자를 차지한 셈이다"고 밝혔다.

장중 매매동향은 잠정치이므로 실제 매매동향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일어나는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