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디폴트] 메르켈·라가르드, '유로존 문제아' 그리스 다루는 법

입력 2015-07-01 10:3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치프라스 ‘어물쩍’ 개혁안에“긴축이 먼저” 채찍 꺼내들어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왼쪽)와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 총재.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 두 여제(女帝)가 ‘유로존의 문제아’ 그리스 길들이기에 팔을 걷었다.

알렉시스 치프라스 그리스 총리가 지난 1월 당선된 이후 장장 6개월 동안 메르켈 총리와 라가르드 총재는 그리스 구제금융 이슈의 한 가운데에 있었다. 치프라스 총리가 추가 구제금융을 호소했으나 메르켈 총리, 라가르드 총재는 원칙의 중요성을 보여주려는 듯, 그리스의 제안을 쉽게 받아들이지 않았다.

메르켈 총리는 그리스 구제금융 이슈가 수면 위로 떠오른 직후 교묘하게 채찍을 휘두르면서 치프라스 총리를 구슬렀다. 메르켈 총리는 지난달 그리스 추가 구제금융의 쟁점이었던 경제개혁안의 중요성을 지난 2월부터 강조했다. 당시 막 당선된 치프라스 총리가 “긴축재정을 반대한다”는 발언을 연일 쏟아내며 국제채권단의 심기를 건드리기 시작했을 때, 메르켈 총리는 “기존 구제금융과 그에 따른 긴축이 모든 논의의 기본”이라며 채찍을 꺼내들었다. 이후 치프라스 총리가 ‘어물쩍’ 경제개혁안을 제출하려고 할 때마다 메르켈 총리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나섰다.

지난달 30일(현지시간) IMF가 그리스의 채무불이행(디폴트)를 선언할 때도 메르켈 총리의 ‘수’는 치프라스 총리보다 높았다.

이날 그리스 정부는 디폴트를 면하고자 유럽안정화기구(ESM)에 2년간 국가채무 상환용 자금을 지원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메르켈 총리는 “7월 5일에 있을 국민투표가 실시되기 전까지 새로운 제안을 협상하지 않겠다”고 엄포했다. 국민투표는 치프라스 총리가 국제채권단이 합의를 본 경제개혁안을 거부하기 위한 ‘꼼수’를 부리기 위해 제안한 것. 메르켈 총리는 ‘자신이 한 말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가르치려는 듯, 치프라스 총리가 먼저 언급한 국민투표를 지목한 것이다.

라가르드 총재 역시 원칙을 내세우며 치프라스 총리를 압박했다. IMF는 그동안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구제금융을 제공할 때 까다로운 구조조정을 요구해왔다. 이에 상대적으로 관대한 방향으로 그리스에 구제금융을 지원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치프라스 총리가 그리스에 유리한 방향으로 경제개혁안을 들고 나서자 라가르드 총재는 엄격한 잣대를 내세웠다. 지난달 국제채권단이 거의 합의를 본 경제개혁안에 태클을 건 것도 IMF였다. 라가르드 총재는 지난 5월부터 “그렉시트(그리스의 유로존 탈퇴)가 가능하다”고 발언하는 등 호락호락한 상대가 아님을 내비치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크리스틴 총재가 내년 7월 임기가 종료되는 만큼, 연임을 노리고 그리스 사태를 다루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하고 있다. 최근 중국이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를 창설하는 등 국제금융에서 IMF의 위상이 실축된 만큼, 그리스 사태를 해결하면서 IMF와 자신의 명성을 높이겠다는 전략이라는 분석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