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기관별로 구축되고 있는 지하정보를 체계적으로 통합하고 효율적으로 관리, 제공, 활용하기 위해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 계획’을 확정ㆍ수립했다고 1일 밝혔다.
지난해부터 전국 각지에서의 일명 ‘싱크홀’(지반침하) 사고가 연쇄적으로 발생하면서 정부는 민관합동 특별팀을 구성해 지난해 12월 지반침하 예방대책을 발표했다. 그 대책의 일환으로 지하공간통합지도를 만들기로 한 것이다.
이번 계획의 4대 추진 과제는 △한 눈에 보는 지하정보 △다 함께 쓰는 정보시스템 △막힘없는 원스톱 지원 △쉽고 투명한 가이드라인의 추진전략이다.
먼저 범정부 활용을 위한 지하공간 정보기반을 마련한다.
이를 위해 전국 85개 시(市)급 지자체를 대상으로 시설물의 밀집도, 구축물량, 사업연계성 등을 고려해 오는 2017년 서울특별시 등 8대 특별ㆍ광역시, 2019년 나머지 시까지 구축할 예정이다.
이미 구축돼 있는 지하시설물ㆍ시추ㆍ관정ㆍ지질정보 등은 연계ㆍ활용하고 지하구조물(지하차도ㆍ지하상가ㆍ지하철 등) 정보는 신규로 구축한다.
또한, 기관별로 산재된 정보를 취합ㆍ가공해 생산된 통합지도에 가시화ㆍ분석ㆍ연계ㆍ활용 기능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활용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지하공간 사고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므로 사고 예방에 어려움이 있다는 판단에 따라, 통합지도를 기반으로 정보통신기술(ICT)을 융합, 지반침하 등의 안전사고 대응과 분석 지원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국토부는 통합지도의 구축, 갱신, 활용 등에 대한 컨설팅을 지원할 수 있는 ‘지하정보 지원센터’를 지정ㆍ운영할 방침이다.
한편, 국토부는 이번 계획에 따라 내년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올해 말까지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지반침하 사고가 빈번하고 시설물이 밀집된 서울, 부산, 대전, 세종시를 시범지자체로 선정했다.
지자체별 특성에 따라 지자체와 협의를 통해 구체적인 대상지역을 선정하고 지하정보별 작업방법과 지하안전 분석 등 활용방안을 마련하고 함께 활용시스템 관련 기술 적용방안 등을 도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