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려되는 '메르스 불황'… 中企ㆍ소상공인 선제 대응 시급

입력 2015-06-22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여파가 확대되면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에 대한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2일 중소기업연구원이 공개한 '메르스 사태와 중소기업 대응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메르스가 급속히 전파되면서 '메르스 불황' 확대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 5월 현재 수출도 전년 동기 대비 10.9% 감소했으며,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8월 이후 6년 만에 최대 감소폭이다.

보고서는 메르스로 인해 향후 3개월 정도의 경제 성장 저해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실제 사스의 경우, 유행기간이 7개월이었으나 부정적 영향은 1분기에 그쳤으며, 신종인플루엔자 역시 GDP성장률 1분기 하락 이후 회복세를 보인 바 있다. 메르스가 장기화될 경우 환율과 물가상승, 고용과 투자 감소 등 국가경제 펀드멘털 약화를 통해 경제 성장이 저해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또한 내수 위주 중소기업의 경우엔 매출 감소와 종업원 감염에 따른 생산차질 등의 문제 발생이 예상되고 있다. 수출 중소기업도 대외 이미지 실추에 따른 한국제품 기피 현상과 통관절차 강화에 따른 수입규제, 바이어 상담 연기 등으로 수출 감소가 우려된다.

이에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 대한 보다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보고서는 기업과 사업장내 방역제품 비치ㆍ사용에 대한 홍보와 교육 등을 강화하고, 피해 중소기업ㆍ소상공인들에게 맞춤형 긴급자금, 경영지원, 세제지원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또한 메르스 확산이 장기화 될 경우 인력손실에 따른 중소제조업 생산 차질에 대한 긴급인력공급 지원, 수출 중소기업의 해외 현지교섭ㆍ활동 지원과 국내 수출상담회, 박람회 등 수출관련 행사 등을 지원하는 것도 꼽았다.

이 밖에도 보고서는 개성공단 중소기업 생산차질 방지와 인력 보호 차원에서 선제적이고 인력 통제와 반출입 물자 방역을 실시하고, 지원 대책 시행 이후엔 시장지배수준에 대한 실태조사, 생산 수준 복원에 관한 현장 조사 등 사후 점검도 필수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