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WHO 평가단 "메르스 단기간 내 해결 못해… 지역사회 감염 증거 없어"

입력 2015-06-13 13:1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진=뉴시스)
세계보건기구(WHO) 합동평가단이 한국 내 중동호흡기중후군(메르스) 사태가 장기화 될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국내 메르스 바이러스는 변종이 아닌 만큼 지역사회 감염의 증거는 없으나 병원에서 감염된 환자가 산발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WHO와 한국의 전문가들이 참여한 '한국-WHO 메르스 합동평가단'(이하 평가단)은 13일 정부세종청사 보건복지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한국 내 메르스 유행이 대규모이고 복잡한 상황이므로 조치가 완전한 효과를 발휘하는 데 수 주일이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평가단은 "국내외 신뢰 강화를 위해 더 활발한 의사소통이 필요하다"면서 "휴교와 같은 조치는 과학적 근거가 없는 경우 신뢰를 저해할 것이므로 수업 재개를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병원 감염 예방 및 환자 이동 제한, 접촉자 확인 및 추적을 통한 격리조치, 환자와 접촉자의 여행 제한 등 강력한 공중 보건 조치가 중요하다"며 " 감염이 진행되는 동안 해외 여행의 경우 특히 제한돼야 한다"고 충고했다.

이날 평가단은 한국 정부의 초기대응 실패 원인으로 소통 문제와 거버넌스 문제, 지방정부의 자원 동원 문제 등 3가지를 꼽았다. 또한 짧은 기간에 많은 사람이 메르스에 감염된 원인 중 하나로 '의료쇼핑 관행'을 지적하기도 했다.

평가단은 "한국의 의료진들이 메르스에 익숙지 않았고 일부 병원은 응급실이 너무 붐볐으며, 다인병실에 여러 명의 환자들이 지내는 등 감염예방통제조치가 최적화되어 있지 못했다"고 진단했다. 이어 "치료를 받으려고 여러 의료시설을 돌아다니는 의료쇼핑 관행과 여러 친구나 가족들이 환자와 병원에 동행하거나 문병하는 문화 탓에 2차 감염이 더 확산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평가단은 "병원 감염 예방 및 환자 이동 제한, 접촉자 확인 및 추적을 통한 격리조치, 환자와 접촉자의 여행 제한 등 강력한 공중 보건 조치가 중요하다"며 "감염이 진행되는 동안 해외 여행의 경우 특히 제한돼야 한다"고 충고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