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요금 줄줄이 인상...서민경제 부담 가중

입력 2015-06-08 11:1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상·하수도, 각종 대중교통 요금은 물론 기름값과 병원비까지 공공요금이 줄줄이 인상된다.  

올 들어 저물가 기조가 이어져 전문가들 사이에서 지속적인 물가하락으로 경기가 침체하는 디플레이션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끊이지 않는 것과는 상반되는 모습이다.  

우선 서민 생활에 가장 밀접한 수도료와 대중교통 요금이 줄줄이 오를 예정이다. 8일 각 지자체에 따르면 전국 5개 기초단체가 현재 상·하수도 요금을 인상할 계획이거나 인상을 검토 중이다. 

경기 안산시는 내달부터 상수도 요금을 평균 9.5%, 강원 동해시는 11월부터 10% 올리기로 했다. 전남 목포시는 하수도시설 설치에 들인 민간자본금 가운데 시비 부담인 1244억원을 갚기 위해 하수도 요금을 인상할 예정이다. 경기 평택시는 하수도 사용료를 2017년까지 66% 올리고, 가평군도 단계적으로 상·하수도 요금을 모두 올릴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동안 제자리를 지키던 수도권 대중교통 요금도 일제히 오른다. 경기 지역 일반 시내버스 요금은 이달 말부터 150원씩 인상돼 성인 기준으로 1250원이 된다. 좌석버스는 250원 오른 2050원, 직행좌석은 400원 오른 2400원으로 조정된다.

인천시의 경우 일반 시내버스와 지하철 기본요금을 각각 150원, 200원 올려 받기로 했다. 서울시도 마찬가지로 버스 150원, 지하철 200원 인상안을 오는 12일 물가대책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시행할 방침이다.  대전은 4년 만에 버스와 도시철도 요금을 150원(교통카드 기준)씩 올린다.

한동안 생활비 부담을 덜어준 기름값도 국제유가 상승에 따라 꾸준히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을 보면 이달 첫째 주 전국 주유소 1만2000여 곳의 휘발유 평균가격은 6주 연속 상승해 ℓ당 1574.4원을 나타냈다. 4월 4주째 1505.8원과 비교하면 66.6원이 올랐다. 1주일에 평균 11원씩 오른 셈이다. 

식탁 물가도 심상치 않다. 배추(85.9%), 파(65.6%), 감자(25.7%), 마늘(17.2%), 고춧가루(9.8%), 돼지고기(7.6%) 값이 크게 뛴 영향으로 소비자 물가는 0%를 기록하는 가운데 농축수산물 가격은 2.7% 상승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