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15/06/600/20150605043818_649184_600_281.jpg)
5일 한국감정원이 올해 4월 신고 기준 실거래정보를 활용해 전월세 전환율을 산정한 결과, 주택종합은 7.6%, 유형별로는 아파트 5.8%, 연립다세대주택 8.2%, 단독주택 9.2%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지방(8.7%)이 수도권(7.0%) 보다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전월세전환율은 전세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되는 비율로 이 비율이 높으면 상대적으로 전세에 비해 월세 부담이 높다는 의미고 낮으면 반대다.
전월세전환율은 최초 작성한 2011년 이래 꾸준히 하락했으며 주택담보 대출금리(3.0%→2.8%) 및 정기예금 금리(1.9%→1.8%)도 전월대비 하락하며 하락세 지속됐다.
하지만 올 들어 보합세를 보이다가 지난 4월 주택종합 전월세전환율(7.7%→7.6%)은 1월 이후 4개월만에 전월대비 0.1%p 하락했다.
주택종합별로 전국은 7.6%로 전월에 비해 0.1%p 하락한 가운데 수도권은 전월 대비 0.1%p 하락한 7.0%, 지방은 전월과 동일한 8.7%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지역별로는 서울이 가장 낮은 6.6%, 경북이 가장 높은 10.8%를 기록한 가운데 제주(8.0%→7.6%)는 전월에 비해 0.4%p 떨어지며 하락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세종(6.7%→6.9%)은 0.2%p 올랐다.
주택 유형별로 아파트(6.0%→5.8%)는 전월대비 0.2%p, 연립주택(8.3%→8.2%)은 전월대비 0.1%p 하락했고 단독주택(9.2%)은 전월과 동일한 전환율을 기록해 아파트와 단독주택의 상대적 격차는 3.4%p로 나타났다.